|
이날 오전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두고 ‘고도의 정치적 판단’이라고 주장하며, 대통령직 조기 퇴진을 사실상 거부하자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영향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외국인이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할지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실제로 외국인 투자자는 10년 국채선물을 3거래일 연속 순매도하고 있다. 지난 10일 1만2050계약, 11일 8458계약, 이날 오전 기준 3893계약 순매도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치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면 외국인의 이탈이 가속화하면서 외환시장 및 주식시장뿐 아니라 채권시장 등 자본시장 전반이 붕괴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며 “해를 넘긴다 해도 연초 멀지 않은 시점에 탄핵 등 조기퇴진 방식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도 “채권시장은 외국인 수급 주도의 변동성 속에 커브는 경기 둔화 우려가 확대됨에 따라 단기적인 플래트닝 압력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향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축소되는 시점에서 커브는 뚜렷한 스티프닝(장기물 금리 상승) 기조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반면 채권시장 내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지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정국,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도 채권시장에 큰 영향이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또 정치적 이벤트가 시스템 안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설명이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치적 충격이 시장이나 국가 신인도에도 충격을 주려면 사건이 그 국가의 시스템과 제도 바깥에서 발생하거나 재정과 경제와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존재해야 한다”며 “계엄, 탄핵 모두 우리나라 사법시스템이 규정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라고 짚었다.
금융당국도 시장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최근 한국은행이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되지 않도록 단기 유동성 공급 조치 방안을 내놓은 상황이다. 또 최대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프로그램 등 시장안정조치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11일에 이어 12일에도 정부와 한은은 연일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를 가동했다. 24시간 모니터링을 지속하며, 시장이 완전히 안정될 때까지 환매조건부증권(RP) 매입을 통해 유동성을 무제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외국인 투자자들 대다수가 국내 민주주의 회복력이 높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발 빠른 조처도 이에 한몫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