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대노총 위원장은 윤 대통령 파면이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자신의 정책을 반대하는 국민을 반국가세력으로 내모는 대통령, 말로만 복지를 외치며 법 위에 서려는 대통령은 더 이상 필요 없다”며 “윤석열의 헌법과 법률 위반, 무엇보다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는 반인륜적 행태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단호한 파면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도 “우리 국민은 이미 심정적으로 윤석열의 파면을 결정했다”며 “헌재의 신속한 파면 결정이 비상식적이고 폭력과 혐오가 난무하는 지금의 무질서를 바로잡는 수단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과 관련한 비판도 나왔다. 이호찬 민주노총 언론노조 위원장은 “불법 계엄령을 통해 언론을 계엄군의 통제 하에 두겠다고 했고 어기면 처단한다 했다”며 “자신에 비판적인 언론사만 콕 집어서 단전, 단수 계획을 세웠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자신을 비판하면 모조리 야당의 정략이고 북한의 지령인 양 몰아간다”며 “민주화 이후에 이런 정권은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기자회견 후 윤 대통령을 파면해야 하는 이유를 담은 의견서를 헌재에 제출했다. 의견서에서 이들은 “윤석열은 재판 내내 궤변과 거짓말을 일삼았다”며 “국가를 장악하기 위해 선포된 윤석열의 비상계엄과 그 폭력성을 시민들은 밤을 새워가며 목도했다”고 적었다. 또 “윤석열을 파면하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비상계엄은 다시 선포될 수 있다”며 “노동자 민중들에 대한 탄압도 다시 시작될 것”이라고 했다.
|
경찰은 양측 충돌을 우려해 헌재 정문을 가운데 두고 기자회견 장소를 분리해 관리했다. 다만 두 위원장이 헌재 민원실을 찾아 의견서를 제출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 고성과 욕설이 오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