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타 시도경찰청에는 경계강화 조치를 내린다. 경계강화란 경찰관 비상연락체계와 출동대기태세를 유지하고 지휘관과 참모들을 지휘 선상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 선고기일 총력 대응으로 유혈사태를 반드시 막아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내 왔다. 경찰은 갑호비상을 내려 서울에 기동대 207개, 1만 4000여명을 투입했다. 경찰버스 등 200여대를 투입해 헌재 주변 150m를 진공상태로 만들기도 했다. 전날 지방에서 올라온 기동대들이 서울 지역 기동대와 함께 훈련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경찰은 혹시나 모를 폭력 사태에 대비해 캡사이신 분사기와 경찰봉 등 장구 사용까지 준비했다.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안전 펜스와 매트 등 보호장비도 총동원했다. 전날부터 전국 경찰서에 보관 중인 총기·도검 출고가 금지되며 헌재 인근 드론 비행도 차단된 바 있다.
이같이 강경한 경비 계획을 통해 경찰은 불상사 없이 이번 선고기일을 무사히 넘겼다. 한남동 관저 앞, 광화문 등에서 대규모 집회가 벌어졌지만 부상자가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당일 4명이 숨지는 등 67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던 것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성공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 집회에서의 폭력 행위를 엄벌하겠다는 기조를 드러냈던 경찰은 이날 1건을 현행범 체포하는 것 외에 큰 사건 없이 대형 집회를 관리하는데 성공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로 추정되는 남성은 이날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격분해 곤봉을 휘둘러 경찰 미니버스 유리창을 파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즉시 해당 남성을 체포,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