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과제는? '한국형 핵융합로' 개념 정립 논의

강민구 기자I 2025.04.01 14:30:00

''민·관협력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 포럼'' 개최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우리나라가 글로벌 핵융합에너지 확보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산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 개념정립 등을 논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관협력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 포럼’을 1일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서 개최했다.

초전도핵융합장치 ‘K-STAR’.(사진=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이번 포럼에는 산학연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해 글로벌 핵융합에너지 확보 경쟁에서 앞서기 위한 당면 과제를 논의했다.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핵융합 유망 기업들은 핵융합에너지 조기 상용화를 위해 소형화를 중심으로 한 혁신형 핵융합로를 적극 개발 중이다. 또 우리나라를 비롯해 7개국 공동으로 건설중인 국제핵융합로(ITER) 프로젝트를 통한 설계, 제작 및 운영 기술을 획득하는 전략과 함께 자체적으로 핵융합로의 소형화 등 혁신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포럼에서는 혁신형 핵융합로의 개념과 필요성, 민관협력 전략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다. 최원호 KAIST 교수는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를 위한 혁신형 핵융합로의 개념 및 도입 필요성’을 주제로 발제했다. 최 교수는 기존 핵융합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온초전도체·AI 등 첨단기술을 도입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시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부원장은 ‘혁신형 핵융합로 도입에 따른 주요 파라미터 제안 및 단계별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윤시우 부원장은 기존 토카막 방식의 핵융합장치보다 작지만 성능이 뛰어난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를 제안하고,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설명했다. 또 혁신형 핵융합로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단계별 추진 전략을 제시하고, 공공과 민간의 협력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혁신형 핵융합로의 도입 타당성, 핵융합 산업 생태계 조성, 민간 기업의 참여 확대 방안, 연구개발(R&D) 투자 활성화 전략 등을 논의했따.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우리나라는 K-STAR(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운영 등을 통해 세계적인 핵융합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대비한 도전적인 과제를 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을 촉진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핵융합 실증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