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27일 “전일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석탄화력발전소를 LNG발전소로 전환을 추진하겠다는 발표와 관련 ‘강압적’, ‘강요’라는 일부 보도와 달리 지속 업계와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의미”라고 27일 밝혔다. 이어 해명자료를 발표하고 “석탄발전소 4기의 LNG 전환 여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며 “정부는 사업자의 자발적 의사에 따라 연료전환을 추진한다는 원칙하에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6일 국무회의에서 환경부, 산업부 등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확정하고 공정률 10% 미만인 당진에코파워 1·2호기, 삼척포스파워 1·2호기 등 석탄화력발전소 4기를 LNG발전소로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발표 직후 관련 민간 발전업체들을 비롯해 해당 지역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나선 상황이다.
당장 관련 업체들은 기 투자비용 1조원 가량을 하루아침에 날릴 위기에 놓였다. 삼척포스파워는 포스코에너지의 100% 자회사로 2013년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호기 건설을 추진해왔으며 현재까지 총 5610억원의 투자를 진행한 상황이다. 당진에코파워의 경우 SK가스(지분 51%)를 비롯해 동서발전(34%), 한국산업은행 등이 컨소시엄을 이뤄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지난 2011년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총 4132억원을 투자해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준비해왔다.
특히 삼척과 당진은 석탄화력발전소에 맞춰진 입지로 LNG발전소로 전환·건설하는 것은 완전히 불가능하다. 때문에 정부가 업계와 협의를 지속 진행하겠다는 설명과 관련해서도 ‘무엇을, 어떻게’ 협의해야 할지도 모르겠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척과 당진 모두 대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바닷가로 석탄화력발전소를 위해 선정된 입지인데 이곳에 LNG발전소를 세우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며 “정부가 향후 업계와 협의를 진행한다고 하는데 협의를 한다고 해서 이곳에 LNG발전소를 세울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만약 정부가 협의과정에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막고 LNG발전소 설립을 지속 요구한다면 아예 현 사업을 백지화하고 입지 선정부터 새로 건설을 추진해야하며 이때는 매몰비용 등 기 투자비용에 대한 보상 문제가 불거질 수 밖에 없다”며 “이런 경우 현재 투자비용은 배임이 되기 때문에 업체들 입장에서는 최후의 수단으로 소송까지 고려하는 극단적 상황으로 몰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주민들의 반발도 곧바로 가시화됐다. 삼척상공회의소와 삼척시사회단체협의회는 27일 성명서를 통해 “정부의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에 따른 삼척화력발전소의 LNG 연료 전환 결정을 수긍할 수 없다”며 “삼척시민은 삼척석탄화력발전소가 원안대로 건설될 때까지 대규모 상경 총궐기 대회를 개최하고 강력하게 투쟁할 것임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삼척은 96.8%의 주민동의를 거쳐 삼척화력발전소를 유치했으며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