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부분의 영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영국은 미국에 약 76억 파운드(약 14조 원) 규모의 자동차를 수출한 바 있다.
이에 영국 정부는 기존에 발표한 2030년 내연기관차 판매 종료 방침은 유지하되 전기차 판매 의무화 일정은 탄력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업체에 부과되는 과징금도 줄일 방침이다. 아울러 하이브리드차와 내연기관 승합차는 2035년까지 예외적으로 판매가 가능하며 애스턴 마틴과 맥라렌 같은 소량 생산 슈퍼카 제조사는 규제에서 면제된다.
또 영국 정부는 전기차 전환 촉진을 위해 23억 파운드(약 4조 3000억 원) 규모의 세제 혜택과 충전 인프라 투자는 지속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업계는 이번 조치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긴 어렵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마이크 호스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T) 회장은 “제조업체가 미국의 관세라는 심각한 역풍에 직면했다”며 “경쟁력 유지를 위한 보다 근본적이고 과감한 조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스타머 총리는 미국과의 관세 갈등에 대해 유럽 주요 지도자들과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총리실에 따르면 그는 최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기민당 대표 등과 통화하고, 관세 문제를 포함한 교역 재정립 방안을 논의했다.
그는 6일자 선데이타임스 기고에서도 “관세를 마치 좋은 소식인 것처럼 말하는 이들은 없다”며 “우리는 더 멀리, 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다른 나라들과의 무역 관계를 공고히 하고 경제를 보다 탄력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