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시큐리티는 “공격 일부가 핵티비스트(정치·사회적 목적을 위해 활동하는 해커)들의 공격과 닮았지만 사실상 중국이나 북한에서 정부 지원을 받는 해커들의 소행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공격 유형별로 보면 1분기 공격 건수의 약 55%는 데이터 등 해킹·유출, 35%는 가짜뉴스 등 유통, 10%는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숀 러브랜드 리시큐리티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최근 블로그에서 “이 같은 사이버 공격이 필리핀 정부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혼란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리핀과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관련된 가짜뉴스 작전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 2월 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해커들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정부 부처 등의 웹사이트와 이메일 등에 침입을 시도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필리핀 당국은 당시 “해커들은 정보통신기술부, 국립해안감시센터 등과 마르코스 대통령의 메일함·웹사이트 등을 표적으로 삼았지만 해킹에는 실패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