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으며 손짓 한 번..한마디도 하지 않은 北대표단
김영철 부장은 27일 경기 파주시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북으로 돌아가면서 쏟아지는 취재진의 질문에 모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지난 25일 이곳으로 방남해 다시 북측으로 귀환하기까지 취재진으로부터 수차례 “방남 소감을 얘기해달라”, “천안함 폭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 “북·미 대화 시점은 언제로 보느냐” 등의 질문을 받았지만 침묵했다.
김 부장은 출경장으로 나서기 앞서 손을 들어보이며 미소를 짓는 것으로 모든 질문에 대한 답변을 대신했다. 2박3일의 방남 기간 동안 우리 정부를 통해 “미국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한 것이 전부다. 그 만큼 김 부장의 이번 방남은 성격이나 그 결과물이 모호한 상태다.
김 부장은 지난 25일부터 남측에 머무르며 문재인 대통령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을 두루 만났다. 우리 정부의 핵심 외교·안보라인 인사들이다. 이 만남을 통해 남북이 서로의 입장을 조율하는 데 시간을 할애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이번 북측 고위급 대표단에는 김 부장과 함께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 북한 내 통일 의제를 비롯한 대남 실무를 다루는 ‘대남통’이 다수 포함됐다. 북·미 대화에 앞서 남북 간 신뢰를 쌓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보인다.
|
이번 북한 고위급 대표단에는 대미 협상 책임자인 최강일 북한 외무성 북미국 부국장도 포함돼 북·미간 은밀한 교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평창 동계 올림픽 폐회식 현장에서 앨리슨 후커 미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과 최강일 부국장이 보이지 않으면서 양측간 실무 접촉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양측은 모두 이에 대해서는 부인했다. 최 부국장은 출경길에서 우리측 취재진으로부터 북·미 비공개 접촉을 묻는 질문을 여러차례 받았지만 시선조차 마주치지 않았다. 출경장으로 나가기 앞서 취재진의 얼굴을 한번 훑어봤을 뿐 쏟아지는 질문에 침묵으로 일관했다. 일각에서는 최 부국장과 함께 ‘미국통’인 최선희 외무성 북미국장이 이번 대표단에서 제외된 것을 두고 북측이 미국보다는 우리측과의 관계 개선에 보다 힘을 주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흘러나왔다.
미국 측 역시 김영철 부장을 포함한 북한 인사와 어떤 접촉도 없었다고 밝혔다.
◇고위급 대표단 돌아간 뒤에도 말 아끼는 정부
이번 만남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것은 비단 북한만이 아니다. 우리 정부 역시 회담 내용을 극비에 부치고 있다. 이를 두고 “발표할만한 똑 부러진 합의가 없다는 방증”이라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더욱이 우리측은 물론 미국이 여러차례 ‘비핵화’를 강조하면서 북한 대표단이 구체적인 대응을 할 수 없게 만들었다는 시각도 있다. 비핵화 담당이 아닌 김영철의 직책으로서는 이에 대한 똑부러진 답을 내놓을 수가 없는 한계가 명확했다는 이야기다.
정성장 통일연구소 통일연구전략실장은 “남북한의 고위급 인사들이 2박3일간 머리를 맞대고 진지하게 논의하고서도 공동의 합의문이나 상세한 보도자료를 발표하지 못한 것은 그만큼 양측이 매우 민감한 주제들을 다뤘고 핵심 문제들에 대해 이견이 아직 충분히 좁혀지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측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들어보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미국 쪽의 입장을 전달하고, 그런 논의들이 있었던 것”이라며 “김영철 부위원장과 합의를 끌어낸다든지, 안을 만들어 미국 쪽에 전달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