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 관계자는 “개인 상환능력을 위주로 대출 심사를 해야 한다는 대원칙에 맞게 은행이 지금부터라도 차주 소득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발굴·축적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부터 은행의 관리목적 DSR을 기반으로 지역별, 대출유형별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겠다는 당국의 계획도 틀어졌다. 차주 단위 DSR 산출이 부정확해 재정비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은행에선 보금자리론과 같은 정책성 대출이 상당 규모를 차지하고 있어 DSR이 높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전체 가계대출로 산출한 내부 관리용 DSR에는 전세자금대출과 집단대출을 포함해 지난해 9월부터 산출 중이다. 그동안 DSR을 잘 관리해왔던 은행도 이번 당국의 규제 강화가 이뤄진다면 전세자금대출과 집단대출 운용에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예컨대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해 재산정한 DSR 비율이 급등했다면 그만큼 전세자금대출을 줄여야 한다. 집단대출도 내부관리 DSR 비율을 최대한 낮추려면 대출 규모를 줄이던가 가산금리를 높여야 한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DSR이 70%면 금융당국에서 직접 규제를 하지 않더라도 은행별로 관리를 요구할 수 있다”며 “신용대출처럼 1년 단위로 연장하는 대출은 연장이 안 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