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이재명 1·2심이 보여준 사법시스템 현실[현장에서]

성주원 기자I 2025.03.27 15:06:34

이재명 대표 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1심 유죄-2심 무죄'에 대한 궁금증
정치적 기소인가 정치적 판결인가

[이데일리 성주원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가 선고됐다. 1심에서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된 사건이 항소심에서는 완전히 뒤집혔다. 동일한 사건의 증거와 사실관계에 대해 상반된 법적 판단이 내려진 것이다.

충북 진천 법무연수원 본관동 앞에 정의의 여신상이 설치돼 있다. (사진=법무연수원)
우리 사법시스템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국민들은 혼란에 빠졌다. 검찰과 법원 중 누구를 믿어야 하나.

한편에서는 검찰의 무리한 기소를 비판한다. 죄가 되지 않는 행위를 억지로 끼워 맞춰 범죄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특정 정치인을 겨냥한 표적 수사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재명 대표에 대한 숱한 수사와 기소는 우연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법원의 일관성 없는 판결을 지적한다. 판사의 개인적 성향이나 정치적 견해에 따라 판결이 좌우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다. 법리적 판단보다 ‘누가’ 판사인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다.

국민의 눈에는 이 모든 과정이 정치적으로 보인다. 검찰이 정치적이고 법원이 정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된다면 사법시스템 전체의 신뢰가 무너질 수 있다.

형사사법의 근본 원칙은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다. 그러나 이 원칙이 사건마다, 피고인마다, 심급마다, 제각각 달리 적용된다면 그때부터는 원칙이 아니라 해석의 문제가 된다. 해석이 판사마다 지나치게 다르고 예측 불가능하다면 법치(法治)의 원칙이 약화되고 ‘인치’(人治)의 위험이 커지는 것이다.

검찰과 법원은 각자의 역할과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서로 극단적으로 다른 결론에 이르게 한다면, 둘 중 하나는 잘못된 것이다. 검찰과 법원 모두 나름의 법리적 논거를 가지고 있더라도, 이토록 극명한 판단 차이가 반복된다면 사법 체계에 대한 신뢰는 약화할 수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사법부가 정치적 도구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검찰과 법원 모두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더욱 투명하고 일관된 원칙을 보여줘야 할 때다. 그렇지 않으면 ‘정치 검사’와 ‘정치 판사’라는 국민의 의심은 계속될 것이다.

이런 혼란스러운 상황이 쌓이면 사법시스템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 검찰과 법원은 자신들의 판단이 정의롭고 일관된 원칙에 기반하고 있는지 스스로를 돌아봐야 한다.

특히 정치인 관련 사건에서 이런 현상이 되풀이된다면 사법부가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은 더욱 커질 것이다. 이는 결국 민주주의의 근간인 삼권분립과 법치주의의 원칙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법리에 충실한 사법시스템의 구축이다. 검찰과 법원 모두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을 올바르게 행사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스스로 점검해야 한다. 그것이 ‘정치 검사’와 ‘정치 판사’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일 것이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