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지난 4~11일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이코노미스트 62명 중 1명을 제외한 모든 응답자가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리에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자의 약 70%인 57명 중 40명(70%)이 3분기에 기준금리가 0.75%로 25bp(bp=0.01%포인트)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2월 설문조사에서 65% 수준에서 소폭 증가한 수치다.
특히 응답자 중 70%는 7월 인상을 예상했으며, 6월(14%), 4~5월(8%) 순이었다. 나머지는 3월, 9월, 10월을 선택했다.
BOJ는 지난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올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다. 4개월 만인 작년 7월 금리를 0.25%로 올렸다. 이후 6개월 만인 올해 1월에 금리를 0.5%로 인상했다.
슌킨중앙은행연구소의 츠노다 타쿠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엔화 약세가 멈추면서 수입 물가 상승 압력이 다소 완화된 점 등을 고려할 때 당장의 금리 인상 필요성이 줄어들었다”며 “올해 임금 협상 결과가 통계적으로 확인되는 7월에 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대기업들이 3년 연속으로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BOJ가 금리를 인상할 여지를 넓혀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올해 연말 기준 금리 예상치는 0.75%, 내년 3월 말 기준 금리는 1.00%로, 지난 2월 조사 결과와 같았다. 미나미 켄토 다이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금융 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BOJ가 서둘러 금리를 조정할 필요는 없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31명 중 28명(90%)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설문(94%)과 비슷한 수준이다.
타구치 하루미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수출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생산 및 투자 계획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설비 투자 감소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