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 탄핵 국면 속에서 민주당이 재보궐 연고자 찾기에 나선 원인으로는 보수 세력의 결집 현상을 꼽을 수 있다. 윤 대통령 석방 이후 보수층의 결집 현상은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대선과 달리 총선과 지방선거 등에서는 중도층 외연 확장보다 지지층 결집이 승패의 중요한 요건으로 간주한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국민 10명 중 6명이 탄핵에 찬성하고 있지만,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겨우 절반 수준이었다. 탄핵 찬성 여론이 여전히 높지만, 야권이 오롯이 지지율 상승으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고 윤 대통령 석방으로 탄핵 기각 기대감은 높아진 결과로 해석한다. 한국 갤럽이 지난 14일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 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51%, ‘현 정권 유지, 여당후보 당선’ 응답은 41%를 차지했다.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이 반영되지 않았던 직전 조사에서는 정권 재창출이 37%, 교체가 52%이었는데, 한 주 새 정권 재창출 의견은 4%포인트(p) 올랐고 정권 교체는 1%p 빠졌다.
재보궐 선거 상황도 민주당에 유리하다고만 볼 수 없다는 예측이 제기된다. 서울 구로구청장의 경우 국민의힘이 문헌일 전 구청장의 주식 백지신탁 불복에 따른 자진 사퇴로 무공천을 결정했으나, 조국혁신당과의 승부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조국혁신당은 의원총회를 구로구의 후보자 사무소에서 열 만큼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상황이어서 우위 예측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한편,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총선과 재보궐 선거 등을 앞두고 지인 찾기를 통한 선거 공략을 강조한 바 있다. 이 대표는 지난해 치렀던 10·16 재보궐 선거 전 “부산 금정, 인천 강화, 전남 영광·곡성에 살고있는 연고자를 모조리 찾아달라”면서 “투표율이 낮은 재·보궐 선거, 백병전만이 승리의 유일한 공식”이라 게재한 바 있다. 이 대표는 지난해 4월 총선 때도 “지역구에 사는 지인들에게 꼭 연락해 투표를 독려해 달라”며 지원 사격을 한 바 있다.
이종훈 정치 평론가는 “재보궐 선거 경우 대선과 비교해보면 참여율이 낮아 외연 확장보다는 지지층을 투표소로 끌고 나오는 쪽이 유리한 선거”라면서 “(민주당의 재보궐 연고자 찾기도) 정당 차원의 선거 동원력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