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망치·밧줄 준비하고 언론사 단전까지" 檢공소장 속 계엄

성주원 기자I 2025.02.03 18:47:57

"계엄령 준비설 괴담" 해명 넉달 뒤 계엄 선포
선관위 관계자 체포용 망치·밧줄 준비
국회 무력화 후 비상입법기구 설치 계획

[이데일리 성주원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혐의 공소장에서 계엄 준비 정황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3일 공개된 검찰의 공소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해 3월부터 계엄을 모의하고 군·경 5000여명을 동원해 국가기관을 장악하려 했다.

계엄이 선포된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군인들이 국회 관계자들과 몸싸움을 하며 국회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윤 대통령은 지난해 3월말 삼청동 안가에서 국방부장관, 국정원장 등과 만나 “비상대권을 통해 헤쳐나가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다”며 계엄을 처음 거론했다. 하지만 지난해 8월에는 대통령실을 통해 ‘계엄령 준비설은 근거없는 괴담’이라며 국민을 기만했다.

계엄 당일인 12월 3일 윤 대통령은 “문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며 군 병력에게 국회 진입을 지시했다. 국회의원들의 계엄 해제 요구안 의결을 막기 위해서는 “본회의장으로 가서 4명이 1명씩 들쳐 업고 나오라”는 구체적 지시까지 내렸다.

정보사령부는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 체포를 위해 망치, 케이블타이, 눈가리개, 복면, 밧줄 등을 준비했고, 체포된 인사들은 수도방위사령부 벙커에 구금할 계획이었다. 특정 언론사들에 대해서는 소방청을 통한 단전·단수 계획도 수립했다.

국무위원들이 계엄 선포에 반대하며 경제와 외교에 악영향을 우려하자 윤 대통령은 “종북 좌파들을 이 상태로 놔두면 나라가 거덜 나고 경제든 외교든 아무것도 안된다”며 일축했다. 심지어 국회의 계엄 해제 후에도 “두 번, 세 번 계엄령 선포하면 되는 거니까 계속 진행해”라며 강행 의지를 보였다.

윤 대통령은 국회 무력화 후 별도의 비상입법기구 설치까지 계획했다. 기획재정부 장관에게는 ‘국가비상 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편성할 것’을 지시했다.

검찰은 이러한 일련의 행위가 헌법상의 국민주권제도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파괴하려는 내란 행위였다고 판단했다. 윤 대통령의 계획은 지난해 12월 4일 새벽 1시 3분, 재석의원 190명의 만장일치로 계엄 해제요구안이 가결되면서 실패로 끝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에 출석해 변호인단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