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엄 당일인 12월 3일 윤 대통령은 “문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며 군 병력에게 국회 진입을 지시했다. 국회의원들의 계엄 해제 요구안 의결을 막기 위해서는 “본회의장으로 가서 4명이 1명씩 들쳐 업고 나오라”는 구체적 지시까지 내렸다.
정보사령부는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 체포를 위해 망치, 케이블타이, 눈가리개, 복면, 밧줄 등을 준비했고, 체포된 인사들은 수도방위사령부 벙커에 구금할 계획이었다. 특정 언론사들에 대해서는 소방청을 통한 단전·단수 계획도 수립했다.
국무위원들이 계엄 선포에 반대하며 경제와 외교에 악영향을 우려하자 윤 대통령은 “종북 좌파들을 이 상태로 놔두면 나라가 거덜 나고 경제든 외교든 아무것도 안된다”며 일축했다. 심지어 국회의 계엄 해제 후에도 “두 번, 세 번 계엄령 선포하면 되는 거니까 계속 진행해”라며 강행 의지를 보였다.
윤 대통령은 국회 무력화 후 별도의 비상입법기구 설치까지 계획했다. 기획재정부 장관에게는 ‘국가비상 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편성할 것’을 지시했다.
검찰은 이러한 일련의 행위가 헌법상의 국민주권제도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파괴하려는 내란 행위였다고 판단했다. 윤 대통령의 계획은 지난해 12월 4일 새벽 1시 3분, 재석의원 190명의 만장일치로 계엄 해제요구안이 가결되면서 실패로 끝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