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연봉 1.4억 넘는 첨단산업 인재에 ‘탑티어 비자’…‘청년드림비자’ 신설

김미영 기자I 2025.03.05 15:29:27

정부, 외국인정책위원회서 결정
세계 유수 대학 석박사 출신 경력직 인재 모시기
지방에 인재 유입 위한 ‘청년드림비자’ 신설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 확대

[세종=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정부가 이달 중 ‘탑티어 비자’를 새로 만들어 외국인 첨단산업 인재 유치에 나선다. 연봉 1억 4000만원이 넘는 경력직 인재를 유치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 경쟁력를 강화한단 복안이다. ‘코리안 드림’을 꿈꾸는 외국인 청년에 인턴 등 기회를 주는 ‘청년드림비자’도 신설한다.

아울러 초고령사회 진입 후 수요가 급증한 요양보호 서비스를 보강하기 위해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을 확대할 방침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외국인정책위원회를 주재하고 “인구·경제구조 변화에 적응하면서 우리 경제·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외국인력 활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됐다”면서 이러한 제도 개선방안을 밝혔다.

정부는 먼저 ‘탑티어 비자’를 신설한다. 이차전지, 바이오, 로봇, 방위산업 등 첨단산업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서다. 세계순위 100위 이내 대학의 석박사 학위를 따고 세계 500대 기업 3년 이상 근무를 포함한 8년 이상 경력자다. 연간 근로소득이 1인당 1억 4000만원 이상의 보수를 받고 국내 첨단 기업에 근무할 예정인 이들에 발급한다. 이들은 취업이 자유롭고 정주가 가능한 거주(F-2) 비자를 부여받고 3년이 지나면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부모 및 가사보조인 초청 허용, 자녀의 외국인 학교 정원 외 입학 허용, 근로소득세 50% 감면 등 혜택을 받는다.

‘청년드림비자’도 새로 만든다. 현행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입국한 외국인 대부분이 수도권에 체류하는 점을 감안, 지방·지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가 유입될 수 있도록 대상자 선정부터 연수, 취업, 정착까지 지자체·대학 등과 협력해 운영할 방침이다. 일정 기간 연수를 거쳐 경험을 쌓은 뒤 국내 첨단 산업부터 농업, 제조업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취업하거나 본국으로 귀환할 수 있게 한다.

이달부터는 지역 특성, 필요를 반영해 광역 지자체가 외국인을 추천하면 법무부가 비자를 심사·발급하는 ‘광역 비자’ 시범사업도 본격 운영한다.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 확대에도 나선다. 2028년이면 요양보호사가 약 11만 6000명 부족할 것으로 추정됨에도 현재 외국인 요양보호사 비중은 0.9%에 불과해서다. 정부는 내년부터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 전문연수 과정’을 시범 운영한단 계획이다. 광역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 우수대학을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으로 지정하고, 학위 취득에서 취업·정착에 이르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에 참여할 필리핀 노동자들의 입국 모습(사진=연합뉴스)
이민자 대상별 맞춤형 사회통합교육 역시 강화한다. 외국인 계절근로자에 대한 인권침해를 예방하기 위해 계절근로자의 조기적응프로그램 이수를 장려하고 장기적으로 이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조기적응프로그램엔 산업안전 및 범죄예방 교육 과목을 신설해 외국인 산업재해와 범죄피해를 예방키로 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