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진표 확정 후 李·尹·沈·安 한 자리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사옥에서 열린 ‘SBS D포럼’ 연설에서 청년층에 대해 “안타깝게도 역사상 최초로 취약계층이 되고 말았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계천이 말라버렸고 계층이동 사다리는 사라졌다”며 “청년들은 영화 ‘오징어게임’의 참가자처럼 생존 자체를 위해 몸부림 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청년이 겪는 불평등을 줄이고,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면서 “사각지대는 좁히고 안전망과 기회는 더 넓혀야 한다. 이를 위해 청년 기본소득, 청년 기본주택, 청년 기본금융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 위기와 관련해서는 “박정희 시대의 산업화 고속도로, 김대중 시대의 정보화 고속도로처럼 에너지대전환, 탈탄소 시대에 걸맞은 에너지 고속도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청년과 함께 국정을 운영하겠다. 결코 청년을 정치적 이벤트의 대상으로 소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윤 후보는 ‘청년 희망 만들기’를 제시하며 “청년에게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일자리 기회”라며 “자유와 자율, 창의를 성장 동력으로 삼아 역동적인 경제를 만들어서 더 좋은 일자리, 더 많은 일자리 기회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또 ‘지역간 불균형 해소하기’를 제시하며 “지역별 특성화를 지역민들이 결정할 수 있도록 하겠다. 지역별 특성화가 가능하도록 법을 개정하고, 지역별 산업 특성화가 가능하도록 지역별로 관련 산업규제를 철폐하겠다”고 말했다.
기후 위기 대응과 관련해서는 “‘탈원전 포퓰리즘’ 정책을 폐기하고 탈석탄을 에너지 전환의 기본축으로 삼겠다”며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을 감안한 재생에너지 특구를 지정해 재생에너지의 다양한 가능성을 실증해 보겠다”고 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도 이날 대선 공약을 언급하며 청년층 보듬기에 나섰다. 그는 청년 문제와 관련해 수시 폐지, 수능+내신 정시 전형 전환 및 사법고시 부활 등을 통한 ‘부모 찬스 없는 나라’, 전문부사관 확대 사병 감축을 골자로 하는 ‘준모병제 실시’로 병역 의무와 자기계발 기회 공존, 토지임대부식 반값 청년안심주택 50만호 공급 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기후위기와 관련해서는 “현 정권의 무지와 편견이 국가 에너지 전략을 무너뜨리고 탄소 중립 실현도 불가능하게 했다”며 “원전 없이 신재생 에너지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원전과 신재생 에너지의 믹스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
안 후보는 지역불균형 해법으로는 중앙 정부가 독점하는 민간기업 유치 권한과 재정을 지방정부에 이양하고 지금의 17개 도시를 5대 광역경제권, 메가시티로의 개편을 제시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획기적인 경제성장이 이뤄졌는데도 시민의 삶이 나아지지 않는 것은 불평등 때문”이라며 “수도권은 끝도 없이 팽창하는데 지역은 소멸을 걱정하고 있고 청년들은 미래를 빼앗겼다”고 주장했다.
심 후보는 “정치가 이 닫힌 청년들의 미래를 다시 열어줘야 한다”면서 “청년기초자산제를 통해서 과감하게 출발선의 격차를 줄이겠다. 차별금지법 성평등 임금 공시제를 도입해서 차별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 尹·李 격차 7%p→1%p…더 좁혀져
대선 후보들이 저마다 청년층 공략에 나선 가운데 지지율은 다시 양강 체제로 돌아선 모습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여론조사 전문회사 4개사가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상대로 공동으로 실시해 이날(18일) 발표한 11월 3주차 전국지표조사(NBS) 대선후보 지지도에 따르면 윤 후보와 이 후보의 지지율은 각각 36%, 35%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두 후보의 격차는 오차범위 내인 1%포인트 차다. 11월 2주차 조사에서 윤 후보가 이 후보를 7%포인트 앞섰던 때보다는 두 후보 간 격차가 상당히 좁혀졌다. 윤 후보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3%포인트 하락한 반면, 이 후보는 3%포인트 상승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윤 후보의 컨벤션(전시) 효과가 한풀 꺾이고, 박스권에 갇혀 답답한 흐름을 보이던 이 후보의 지지율이 모처럼 반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정치평론가는 “지금 판세는 두 후보 간 박빙으로 보는 게 무난하다”면서 “시간이 갈 수록 후보들의 공약과 각종 의혹 관련 수사 결과, 지지층 결집 등 여러 변수에 따라 지지율의 향방이 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 후보와 심 후보는 각각 5%, 4%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지난주 대비 큰 변동은 없었다. 태도 유보(없다, 모름 및 무응답)는 18%로 나타났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30.2%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