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백제 무령왕릉 주변에 '고분 40여기' 더 있다

윤종성 기자I 2019.07.17 17:13:33

백제고분 유존 가능성 다수 확인
정비되지 않은 야산에 41기 추정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조사한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현황. 무령왕릉을 포함해 정비된 고분은 7기, 일제강점기 보고됐으나 현재까지 위치를 알 수 없었던 고분은 6기, 새롭게 확인된 추정 고분은 41기이다(사진= 문화재청)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백제 무령왕릉이 있는 공주 송산리고분군(사적 제13호) 일대에 고분 40여 기가 추가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백제 웅진도읍기(475∼538) 왕실 묘역인 송산리고분군에서 진행한 고고학 지표조사와 지하 물리탐사를 통해 기존에 정비된 무덤 7기 외에 고분 47기가 더 남았을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성준 부여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송산리 고분군 주변의 정비하지 않은 야산에 고분 41기, 정비된 지역 지하에 무덤 6기가 더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정비 구간에서 찾은 무덤은 일제강점기에 보고된 7∼9호분과 29호분 흔적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송산리고분군은 계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 무령왕릉과 5·6호분이 있고, 동북쪽에 1∼4호분이 존재한다. 1∼5호분은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굴식 돌방무덤)이고, 6호분과 무령왕릉은 틀로 찍어낸 소성(燒成) 벽돌로 쌓은 벽돌무덤인 전축분(塼築墓)이다.

송산리고분군에 백제 왕릉이 있다는 사실은 조선시대 문헌인 ‘동국여지승람’에도 있으며, 일제강점기인 1927∼1933년에 가루베 지온(輕部慈恩)과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조사해 무덤 29기가 있다고 보고했다. 당시 발굴은 1∼5호분과 7∼8호분, 29호분을 대상으로만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소는 이번 조사에서 문헌과 일제강점기 유리건판 사진을 살핀 뒤 고분 흔적인 봉분이나 석재를 조사하고 입지 특성과 지형을 분석했다. 이어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과 함께 지하 물리탐사를 시행했다. 현재 연구소는 이번에 추가로 발견한 고분 41기가 일제강점기에 보고된 29기와 얼마나 중복되는지 파악 중이다.

한편, 연구소는 조사에서 ‘중방’(中方) 글자가 있는 벽돌도 수습했다. 무령왕릉에서 남쪽으로 80m 떨어진 지점에서 나온 이 벽돌은 방(方) 자 부분이 조금 깨졌다.

아치형 구조인 무령왕릉은 벽돌 7927점을 사용해 축조했는데, 그중 ‘중방’명 벽돌은 30점에 불과하다. ‘중방’명 벽돌은 짧은 벽돌과 긴 벽돌로 나뉘며, 이번에 찾은 벽돌은 긴 벽돌이다. 이 같은 벽돌은 창문 모양을 장식한 8점밖에 없다.

▲무령왕릉 서벽 창문모양 장식에 사용된 ‘중방(中方)’명 벽돌(좌)과 이번 조사에서 수습한 ‘중방’명 벽돌(우). 벽돌의 크기와 글자의 위치로 볼 때 무덤방 벽면에 세워 창문모양을 장식한 것과 유사하다(사진= 문화재청, 국립공주박물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