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오픈AI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과 의료 연구를 보조할 수 있는 박사급 수준의 ‘AI 에이전트’를 월 2만달러(약 2884만원) 수준의 구독료로 기업 고객에 판매할 계획이다.
이어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는 월 2000달러(약 288만원) 수준의 AI 에이전트를. 소프트웨어 개발 용도로는 월 1만달러(약 1442만원)짜리 AI 에이전트도 판매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AI 에이전트는 데이터 및 환경과 상호 작용하며 특정 목표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다. 기존 챗봇과 달리 더욱 복잡한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어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디인포메이션은 “AI가 연봉 20만 달러(약 2억9000만원)의 개발자나 중요한 의료 연구자 수준의 일을 해낼 수 있다면 사람들은 더 큰 비용을 지급할 의향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
현재 오픈AI의 주요 매출원은 월 200달러(약 29만원)의 ‘챗GPT 프로’와 같은 유료 구독서비스다. 월 20달러(약 2만9000원)의 챗GPT 일반 구독료보다 10배 더 비싸지만, 높은 사양의 AI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어 개발자와 연구자들 사이에서 인기다.
오픈AI가 챗봇을 넘어 고급형 AI 에이전트 출시 계획을 추진하고 나선 것은 기업용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과 메타 등 경쟁사들도 AI 모델 강화에 집중하며 시장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앞서 오픈AI의 주요 투자자인 소프트뱅크는 올해 오픈 AI의 에이전트 개발에 30억 달러(약 4조3300만원)를 투자하기로 약속했다. 이에 오픈AI는 주요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 확대를 추진 중이다.
기업 맞춤형 AI 솔루션 수요 증가에 따라 오픈AI는 새로운 AI 에이전트를 통해 기업 고객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며, AI 기반 자동화 시장을 주도하려는 전략을 강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