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시나리오 측면에서 살펴보면 올 상반기엔 경제활동 재개로 그동안 억눌렸던 개인소비와 설비투자가 되살아나면서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올해 1분기(1~3월)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연률 5.1%(평균)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해 12월 발표한 세계 각국 2022년 경제성장률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3.7%, 유로권은 4.3%, 일본은 3.4%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개인소비와 기업 설비투자가 상바기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한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소비가 줄어 현재 일본 가계에는 30조엔(약 310조 2000억원)의 과잉 저축이 쌓여 있다고 추산했다.
이에 따라 여행이나 외식 등의 부문에서 보복소비가 촉발해 올해 개인소비는 전년대비 3.8%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2021년 2.7% 대비 1.1%포인트 상승한 규모다.
그동안 일본 정부가 재정을 풀어 경기를 지탱해온 덕분에 민간부문의 설비투자 역시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진단이다. 올해 설비투자는 전년대비 2.2% 증가한 2021년보다 가속화해 4.3%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제조 부문에선 공급제약이 완화하며 자동차 등의 생산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됐다.
다만 이는 지난 해 저조한 성장세에 따른 반동, 즉 기저효과로, 하반기에 접어들면 둔화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4분기(10~12월)에는 성장률이 1.7%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코로나19 감염세 확산이 꼽혔다. SMBC 닛코 증권의 마루야마 요시마사와 닛세이 기초 연구소의 사이토 타로는 “코로나19 감염 확대로 경기가 다시 침체할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았다.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으로 수입물가가 상승하면 가격 인상이 불가능한 일본 기업들은 수익성 측면에서 압박을 느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경기는 가라앉는데 물가만 뛰는 이른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외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빠를 경우 금융시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소니 파이낸셜 그룹의 오가와 마키 금융시장 조사 부장은 “연준이 금리 인상을 서두르겠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시장 변동성이 확대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오카삼증권의 스즈키 성 채권 시니어 전략가는 “금리 인상을 해도 장기 금리는 그다지 상승하지 않을 것”이라며 “장기 금리 지표가 되는 10년 미 국채 수익률은 1.9% 상승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도 2% 정도 전망이 평균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본격적인 성장궤도를 향해서는 생산성을 높이는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일본 종합연구소의 마츠무라 히데키는 “보다 높은 성장을 위해 디지털화·탄소 중립에 중점을 둔 성장 전략을 구체화하고 조기에 대응하는 게 향후 정책 과제”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