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석에 따르면 산업단지에서 근무하는 2030 근로자의 카드 소비는 산업단지에 편의점, 마트, 일반음식점 등 편의시설 부족으로 인해 사용건수 및 금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 내 주요항목(온라인 소비 및 교통비 제외)의 월평균 소비 건수 및 금액은 전체 소비의 각 20.3%, 12.3%에 불과했다. 산단 외부에서 보시한 것에 비해서는 각각 건수는 4분의 1, 금액은 7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전체 2030 근로자의 소비가 가장 활발한 시간대인 ‘휴일’과 ‘밤’(오후 7시~오전 5시)에도 생활 인프라 접근성 부족과 직주근접 소비 선호 등으로 산업단지 내 소비는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조사 대상인 3개 산단의 소비인원 비중은 전국 기준과 비교할 때 평일은 38%, 휴일은 22%, 밤 시간대는 24% 수준을 밑돌았다.
산단공과 삼성카드는 타겟 설문조사를 통해 산업단지 2030 근로자의 소비성향도 분석했다. 설문에 따르면 산업단지 근로자는 △단체생활 편의 △신속·간편 △직주근접 △실용적 △개인중심 소비 특성을 보였다.
산단공은 이러한 청년층의 소비성향과 연계해 산업단지 내 휴게·간편식·쇼핑·친환경 공간을 확대하는 등 생활 인프라 개선 노력을 통해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 친화형 공간으로 개선해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상훈 산단공 이사장은 “데이터에 기반한 산업단지 지원정책을 실시해 산업단지 근로환경 개선, 청년 근로자 유입의 효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산단공과 함께 산업단지 정책과 연계한 협력과제를 발굴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 산업단지 청년층의 소비 실태를 파악한 첫 사례라 의미 있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