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대행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국인정책위원회에서 “인구·경제구조 변화에 적응하면서 우리 경제·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외국인력 활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됐다”고 말했다. 저출산·고령화로 산업·돌봄 인력이 부족해지고 첨단 분야 인재 확보 경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한국도 적극적인 외국 인력 활용 정책을 펴야 한다는 게 최 대행 진단이다. 그러면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과 역동적인 경제 환경을 갖추고 있는 우리도 글로벌 혁신을 주도할 해외 우수인재들이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기조에서 정부는 대대적인 외국인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첨단 분야 국내 기업에서 일할 외국 인재(△세계 100위 이내 해외대학 석박사 △세계 500대 기업 근무 경험 △소득이 1인당 국민총소득(GNI) 3배 이상)를 위한 ‘톱티어 비자’가 이달 중 신설된다. 톱티어 비자를 발급받으면 해당 인재와 그 가족에게 취업과 정주가 자유로운 F-2 비자를 바로 부여하고 3년 후엔 영주권(F-5 비자)도 준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 ‘첨단산업 우수 해외인재 지원 프로그램’(K-테크 패스)와 연계해 △최장 10년간 근로소득세 50% 감면 △자녀의 외국인학교 정원외 입학 허용 △내국인 수준 전세 대출·보증 한도 등 혜택을 제공한다.
취업이 확정되지 않더라도 세계 100위 이내 대학 석박사 학위 보유자에겐 2년간 자유로운 취업 활동을 보장하는 구직비자(D-10-T)를 제공한다. 또한 한국전쟁 참전 회원국이나 주요 경제 협력국 청년에겐 문화 체험과 어학연수, 취업 활동을 할 수 있는 청년드림비자를 발급해 준다.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에 맞춰 유학(D-2)·특정활동(E-7) 비자 체류 자격과 쿼터 등을 자율적으로 정하는 광역비자도 이달부터 시범 도입된다.
최 대행은 이와 함께 “외국인 증가와 체류 유형 다변화에 대응하여 이민자 대상별 맞춤형 사회통합교육을 강화하겠다”며 산업 안전·범죄 예방 등 조기적응프로그램·체류 유형별 맞춤형 사회통합프로그램 강화, 정주형 비자 전환을 위한 숙련 기능 인력 양성 특별반 편성 등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