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약형 특성화고는 교육·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지역 완결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지자체·교육청·기업 등이 협약을 통해 연합체를 구성하고 지역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라는 취지로 지난해 신규 도입됐다.
작년에는 용산철도고·인천반도체고·정석항공고·충남기계공고·강원생명과학고·천안여자상업고·한국치즈과학고·포항흥해공업고·경남해양과학고·한림공업고 등 10곳이 선정됐다.
교육부는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학교에 5년간 최대 45억 원을 지원하고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부여한다. 사업 선정을 희망하는 특성화고는 지자체·교육청·기업·대학 등과 협약을 체결한 뒤 인재 육성계획을 수립해 교육부에 제출하면 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협약형 특성화고는 우수 기술 인재들이 지역에서 성장·정주하며 지역을 발전시키는 선도모델”이라며 “이번 2차 공모에서도 지역사회가 특성화고와 함께 우수 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다양한 모델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