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고용부는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하며 ‘주’ 단위 연장근로시간 관리 단위를 ‘월, 분기, 반기, 연’ 단위 다양화한다고 발표했다. 개편안이 실현되면 일주일에 12시간 이상 연장근로를 할 수 있고, 11시간 연속휴식권을 보장하면 일주일 최대 69시간, 휴식권을 보장하지 않을 경우 최대 64시간을 근무할 수 있다.
하지만 노동계를 중심으로 반대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근로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등 거대 노조뿐 아니라 MZ노조도 주52시간제 유연화에 반대하고 나섰다. MZ세대를 주축으로 한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는 “연장근로 관리단위 확대는 장시간 노동과 과로 탈피를 위한 국가의 제도적인 기반 마련이 제대로 효과를 보지 못한 상황에서 도입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권 차관은 “주 52시간제의 지향점을 깨는 것이 아니고, 실근로시간 단축이 목표”라며 “주 평균 근로시간을 잘 관리하고 장기휴가를 활성화하면 과로가 많이 없어지고 생산성도 굉장히 올라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제도 개편 후 일이 많을 때 집중 근로를 하면 최악의 경우 근로시간이 80.5시간(11.5시간×7일)에 달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권 차관은 “주 7일 근무가 상시화될 거라는 가정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주 52시간제에서도 5일간 8시간 일한 뒤 주말 이틀간 12시간 일하는 극단적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렇게 일하는 곳은 없다”고 반박했다.
특히 이번 제도 개편과 관련해 IT 업종, 사무업종 근로자들은 이른바 ‘공짜 야근’이 만연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 근로시간 저축계좌제를 도입해 초과 근로시간을 장기휴가로 활용할 수 있는 계획을 밝혔지만, 보장된 연차 휴가도 다 쓰지 못하는 현실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있다.
권 차관은 “포괄임금 오남용을 막으려는 정부의 의지는 강하기 때문에 지켜봐달라”면서 “고무적인 건 IT업계에서 포괄임금 폐지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실근로시간을 줄이려는 문화로 가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휴가 문제는 연차에 대한 금전 보상 문제와 연결돼 있고, 월급과 시간급 등 임금체계 구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임금체계 개편이나 이중구조 개선 등과 연계해서 논의해야 한다”며 “근로시간을 자연스럽게 낮추면서 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