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野, 농성하며 `이태원 참사` 경찰 자료 요구…국조·특검까지 강공 모드(종합)

이상원 기자I 2022.11.03 18:06:26

野, 애도 속 `국조·특검` 추진…전방위 압박
"與, 반대할 이유 하등 없어"
서울경찰청 항의 방문…자료 제출 두고 대치
기동대 배치·112 신고 요약본 받기로

[이데일리 이상원 박기주 기자]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이 국정조사와 특별검사(특검)까지 예고하며 ‘애도’ 속 강공 모드로 전환했다. 민주당은 3일 서울경찰청을 항의 방문해 참사 당시 경찰 대응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하며 ‘정부 책임론’을 부각, 전방위 압박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용산 이태원 참사 대책본부 전체회의가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박찬대 최고위원, 김교흥, 남인순, 이성만 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이제 국민이 국회에 부여할 책무를 다할 때가 됐다”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 제출을 예고했다. 참사 당일 미비한 경찰인력 배치를 비롯해 112 신고 부실대응, 늑장 보고, 민간 사찰 등 정부 당국의 대응과 후속 조치 과정을 면밀히 살피겠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다음 주 본회의에서 국정조사 요구서를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박 원내대표는 “정부 당국은 국회가 법률에 따라 국정조사를 결정하면 참사의 진상규명에 적극 협조해야 할 것”이라며 “여당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주장하고 있는 만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국정조사를 반대할 이유가 하등없다”고 여당에 압박을 가하기도 했다. 국정조사의 추진이 더딜 시 특검에 대한 가능성도 시사했다.

민주당은 진상 규명을 위한 자료 확보를 위해 서울경찰청을 항의방문해 약 2시간가량 대치전을 벌이기도 했다. 민주당 이태원 참사 대책본부 소속 의원들은 이날 오후 서울경찰청 방문해 당시 기동대 배치 현황과 이태원 일대 마약 수사 대책 회의, 당시 112 신고 79건 중 공개되지 않은 68건의 요약본 등의 자료를 요구했다.

박찬대(오른쪽 네번째) 더불어민주당 이태원 참사기구 본부장을 비롯한 민주당 의원들이 3일 오후 서울지방경찰청 항의 방문을 마치고 기자들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뉴시스)
서울경찰청 측은 자료 제출 가능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의원들은 자료를 제출하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겠다고 맞서며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고성을 높이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 2시간 대치전을 벌인 끝에 민주당 대책본부는 서울경찰청으로부터 요청한 자료 13건 중 대부분의 자료를 받기로 했다. 현장 CCTV의 경우 경찰청 특별수사본부의 압수수색이 이뤄진 상황이어서 확보하지 못한 가운데 당시 경찰 무전 녹취록 역시 자료 제출이 어렵다는 뜻을 경찰이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대책본부 단장을 맡고 있는 박찬대 민주당 최고위원은 항의 방문이 끝난 뒤 취재진과 만나 “이번 이태원 참사에 대한 서울경찰청의 책임이 참으로 무겁고 많은 권한을 갖고 있음에도 사전 대비도 없었고, 참사 당시 현장 대응도, 사후 대응도 상당히 엉망이었다”며 “서울경찰청장이 이번 참사의 엄중한 책임을 져야 하고 만약 비협조적이라면 지구 끝까지라도 쫓아가서 반드시 진상 규명과 관련된 책임을 요구하도록 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오는 7일 예정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이태원 참사’ 관련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와 경찰청, 소방청을 대상으로 현안 질의를 통해 진상을 분명히 밝히겠다는 입장이다. 천준호 의원은 이와 관련해 “(경찰에 요청한 자료가) 잘 제출된다면 이를 갖고 7일 행안위 전체회의를 잘 진행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진실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를 추가로 계속해서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박홍근(왼쪽에서 두 번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 이재명 “‘이태원 참사’ 국조, 당연히 연장…최선 다할 것” - 이태원역장 구속영장 ‘임박’…서교공 노조 “책임 전가 말라” - 이태원 참사 대책 내년 1월 나온다…"행사 안전관리 주체는 지자체"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