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상법 개정안 시행 전 서두르자?…연초부터 유상증자 봇물

김경은 기자I 2025.03.31 16:28:10

1분기 유상증자, 전년 대비 5.3조 증가
투자자금 선제확보 나서는 기업들
'운영자금→타법인 증권 취득' 목적 급증
경영환경 변화 대응 vs 지배구조 개편 과정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올해 1분기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 규모가 전년 대비 급증하며 기업들이 미국 관세 장벽 대응과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자금 마련을 위해 주식시장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상법 개정안 통과 등 강화하는 주주가치 제고 분위기에 자금조달을 앞당겨 시도한 것이란 시각도 나온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 들어(1월1일~3월30일) 유상증자 결정 공시 상장 기업의 수는 89개사로, 총 증자규모는 7조2139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회사 수는 6개사가 늘어났고, 발행규모는 5조 3364억원 급증했다.

주식발행 규모가 급증한 배경으로는 삼성SDI(006400)(2조원)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3조6000억원)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시설자금 및 타법인 증권 취득’ 목적의 자금조달이 크게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분기 유상증자의 주요 목적으로 ‘운영자금’이 69%를 차지했지만, 올해는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이 55.6%로 가장 높았다. 해당 목적 용도 발행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2조4000억원), 삼성SDI(006400)(1조5460억원), 에코프로머티(450080)(550억원), 아이에이(038880)(100억원), 휴림로봇(090710)(10억원) 등 5곳이다.

시설자금 목적도 조달도 1조9541억원으로 전년 1405억원 대비 큰 폭 늘어났다.

반면 지난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운영자금’과 ‘채무상환’ 목적은 각각 5088억원, 627억원 줄어든 7868억원, 201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기업들이 주식시장을 통해 자금조달을 하는 것에 대해 일각에선 미국 관세장벽 강화 및 금리 상황 등 대내외 경영환경과 실적 악화로 인한 채무부담 증가를 한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공기업·금융기업 제외, 100개사 응답)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전년 대비 올해 자금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31%로 집계됐다. 이는 호전됐다고 응답한 비율 11%보다 3배 많은 수준이다.

한편으로는 이사의 충실 의무를 강화한 상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기업들이 주가 희석 및 주주가치 훼손 우려가 높은 유상증자를 선제적으로 단행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온다. 상법 개정 시행 전에 오너 중심의 지배구조 강화나 승계 작업이 집중될 수 있다는 논리다.

이같은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경우 금융감독원의 중점심사 대상에 올라 지난 27일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받은 상태다.

앞서 지난 17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오는 2030년까지 필요한 해외 거점투자 및 방산·무인기 사업 투자 자금 전액을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조달한다고 발표했다.

금감원은 이 과정에서 한화에어로 이사회 의사결정 과정도 들여다보고 있다. 관건은 지난 2월 한화오션 지분 매입(1조3000억원)과 최근 유증 결정 과정의 연관성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에 대해 “구체적 심사 사안은 공개할 수 없지만 이사회 의사 결정은 일반적으로 심사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사회에서 유증이 어떤 과정을 통해 결정된 것인지도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의 지분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하기로 발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및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나섰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