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같은 당 박수영 의원이 연금안에 반발하며 당 연금개혁특위원장직 사퇴한 것과 관련해 “박 의원 개인 의견은 그대로 존중한다”면서도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앞으로 구성될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에서 부족한 부분을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여야는 전날 연금개혁안에 합의하고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했다. 2007년 이후 18년 만에 이뤄진 이번 연금개혁안은 연금보험료율은 현행 9%에서 13%로 단계적으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현행 40% 목표에서 2026년부터 43%로 인상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출산과 군복무에 대한 가입기간 인정(크레딧)도 확대된다. 또 국회 안에 구조개혁을 논의하게 될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설치하는 안도 함께 통과했다. 연금개혁특위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 6인, 비교섭단체 1인으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국민의힘이 맡으며 안건을 합의 처리하기로 했다.
여야 합의안임에도 불구하고 본회의 표결에선 여야에서 ”청년층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무더기 반대·기권표가 나왔다. 반대 40명, 기권 44명이고 이중 국민의힘에선 26명이 반대, 30명이 기권표를 던졌다. 박 의원도 ”청년세대착취법“이라고 반발했다. 그는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당 연금개혁특위가 총사퇴한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의힘이 요구한 것이 100이지만 나라와 국민을 위해 60에서 일단 타협하고 40은 이후 단계에서 논의하는 현실론을 택했다고 설명하며 ”모든 책임 저한테 있다. 제가 다 감수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비판과 비난을 두려워하고 그걸 피했다면 제가 박 의원 같은 스탠스를 취했겠지만 재정 고갈 시점을 미루는 것이 조금이라도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길이라면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신조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부족한 부분은 연금특위를 통해 보완해야겠다 생각한다. 연금특위엔 이번에 반대한 의원들과 젊은 의원들을 배치해 그분들의 전투력과 설득력으로 청년세대들이 요구하는 안을 많이 관철되도록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