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샤워기 수압 제한 해제’ 행정명령에 서명, 에너지부에 이 규칙을 폐지하도록 지시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서명식에서 “샤워기 수압이 너무 낮아 샤워를 할 때 온몸에 물을 끼얹으려면 15분간 서 있어야 한다”며 “참 우스꽝스럽다”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나는 예쁜 내 머리를 가꾸고, 샤워를 잘하기 위해 수압 제한을 해제한다”고 밝혔다. 이어 “샤워를 하거나 손을 씻거나 물이 나오지 않는 식기 세척기 등에 모두 포함해 수압제한을 완화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시장에서 판매되는 각 샤워기 헤드 유량을 2.5갤런(9.5리터)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규제 정책이다. 기본적으로 화장실, 식기세척기 등 물을 사용하는 모든 가전제품에 적용됐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시절 수자원 절약을 위해 만들었고, 트럼프 대통령 1기 때 이 규정을 완화했으나, 후임인 조 바이든 행정부 들어와 원상복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폐지하기로 한 것이다.
팩트시트는 “수압제한 같은 과도한 규제는 미국 경제를 악화시키고, 관료주의를 고착화하며 개인의 자유를 억누르는 대표적인 불합리한 정책이었다”고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압규제는 정부의 간섭’이라고 지적하며 “수도 요금을 내는 미국인이 어떤 샤워기를 사용할지를 연방 정부가 간섭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날 국가 안보 차원에서 미국 조선업의 재건을 도모하고, 중국의 해양 패권을 막는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그는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면서 “사실상 지금 1년에 한 척도 만들지 못할 정도로 아주 뒤처져 있다”면서 “선박 건조부터 미 해군 군사활동을 지원할 상선을 보유함으로써 해양 패권을 회복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행정명령에는 미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의 해양, 물류, 조선 부문에 대한 불공정 표적화 조사에 대한 조치를 지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앞서 USTR은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집권 1기 행정부 때 자신을 비판했던 크리스 크렙스와 마일스 테일러 등 전직 국토안보부 공무원 2명에 대한 보안 허가를 박탈하고 법무부에 조사를 지시하는 각서에도 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