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F는 미국의 중립금리(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는 금리 수준)가 0.5~0.7%대(실질금리 기준)를 장기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대 중립금리가 1.5~2.0%대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래리 서머스 미국 하버드대 명예교수 등과 다른 분석이다. 서머스 교수는 공공 지출이 확대 추세에 있는 만큼 채권 공급량이 늘어 금리가 상승(채권 가격은 하락)할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IMF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고령화와 그에 따른 생산성 악화로 금리가 떨어질 것으로 봤다.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 소비는 줄고 저축은 늘어나기 때문에 금리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여기에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은 자본의 생산성을 떨어트려 중기적으로 금리를 떨어트릴 수 있다고 평가했다. IMF는 그러면서도 공공 부채 증가와 탈(脫)세계화 현상이 심화할 경우엔 중립금리가 오를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IMF는 금리가 낮아지면 팬데믹 과정에서 늘어난 공공 부채 상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초저금리 상황이 이어질 경우 중앙은행의 정책 수단이 제약되는 건 부담거리다. 경기가 위축되면 금리를 낮춰 이를 부양해야 하는데 중립금리가 낮아진 상황에서 인하 폭이 제한된 상황에서 경기 부양 카드가 제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IMF는 “금리의 실효 하한(일정 수준 이하로 금리를 낮추면 통화정책 효과가 저하되거나 자본 유출 등 부작용이 생기는 것) 문제가 다시 중요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