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평균 임금은 G7국가 중 가장 낮고, 지난 30년간 거의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특히 일본 경제는 임금이 물가 상승을 따라잡지 못하면서 디플레이션의 늪에 빠진 상태다. 일본은행이 ‘물가 상승→임금 인상→소비·투자 확대→경제 활성화’라는 선순환을 위해 초 금융완화적 통화정책을 고수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다 지난해 물가가 8년 만에 크게 오르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인플레이션으로 각국이 금리인상에 나섰지만 일본은행은 여전히 초 금융완화적 통화정책을 버리지 못했다. 아직까지 물가가 충분히 오르지 못해 경제 선순환 구조에 이르지 못했다는 판단에서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도 ‘임금 인상을 수반한 2% 물가 상승’이 안정적으로 유지돼야 금융완화를 중단할 수 있다고 여러차례 말해 왔다. 임금인상률이 3%는 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장은 올해 임금인상률을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해 일본 평균 임금 인상률은 2.8%로, 199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임금이 오를 수 있다는 신호는 나오고 있다. 일본 근로자의 지난해 12월 명목임금은 겨울 보너스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8% 상승해 1997년 이후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유니클로 의류 브랜드 소유주인 패스트 리테일링은 일본 정규직 연봉을 최대 40% 인상한다는 안을 발표했다. 게임업체 닌텐도도 급여를 10%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의 최대 노동조합인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연합)는 올해 춘계 노사협상에서 5% 인상안을 요구하기로 밝힌 상황이다. 일본 도요타자동차도 노동조합의 임금·보너스 인상 요구를 모두 수용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2일 전했다.
하지만 변수는 있다. 대기업과 달리 일본 노동자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에서도 임금인상이 잇따라 나올지가 미지수다. 이들 대부분은 노동조합에 가입돼 있지도 않다. 싱크탱크인 일본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노조원 비율은 사상 최저치인 16.5%로 떨어졌다. 여기에 지난해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이 치솟은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이 임금인상에 적극 나서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일본상공회의소의 이시다 토루 사장은 블룸버그에 “중소기업들은 원자재값이 상승해도 대기업 공급업체에 증가된 비용을 전가시키지 못하고 있어 매우 어려운 국면”이라면서 “임금 인상 압력을 받고 있지만 자금 여력이 많지 않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