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업계에 따르면 EU는 최근 자동차 이산화탄소(CO2) 배출 규제 3년 유예를 골자로 하는 ‘유럽 자동차 산업을 위한 액션 플랜’을 발표했다. EU는 원래 2025년 신차 한 대당 평균 탄소배출량을 2021년 95g/km 대비 15% 감축한 93.6g/km 이하로 낮추고, 초과 배출량은 g당 95유로의 벌금을 부과할 예정이었다.
개정안은 이달 중 EU 회원국 및 EU 의회 표결을 거쳐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
EU의 자동차 환경규제 강화 유예는 전동화 도입이 늦은 완성차 업체에 더 희소식이다. 영국 컨설턴트사 로 모션에 따르면 EU 내 자동차 CO2 벌금 부과에 따른 예상 벌금은 폭스바겐 77억유로(약 12조2000억원),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17억유로(약 2조7000억원), 스텔란티스 16억유로(약 2조5000억원)이다. 현대차·기아도 10억유로(약 1조5000억원)의 벌금이 예상되지만 친환경차 라인업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기에 경쟁사 대비 액수가 낮다.
현대차·기아의 유럽 2024년 판매량은 106만3517대로 전년 대비 3.9% 감소로 부진했다. 현대차그룹은 전동화 라인업 강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유럽 시장 내 점유율을 높인다는 계획을 짰다. 지난달에는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유럽 등 세계 기자들을 모아 ‘기아 EV 데이’를 열어 EV4, PV5 및 EV2 콘셉트카를 대거 선보여 전기차 라인업을 자랑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에 이어 유럽 내 이상기류 발생으로 계획에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럽 각국 국민들 사이에서 해외 생산 전기차에 지원금을 주면 안 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트럼프 발 보호무역 폭풍이 유럽까지 들불처럼 번지면서 EU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 장벽마저 강화될 우려가 큰 형국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경우 유럽 내 생산기지를 통해 대응한다는 조치나 공급망 조정이 불가피해 국내 제품 수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용권 신영증권 연구원은 “작년 서유럽에 수출하는 전기차의 한국산 비중이 현대차는 59%, 기아는 100%”라며 “비관세 장벽이 확대될 경우 현대차·기아가 유럽 전기차 생산을 통해 대응 가능하나, 국내 수출에는 감소 요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