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 처장은 공무원 연금개혁·고위공무원단 제도 도입 실무를 이끈 인사 전문가로 꼽힌다. 대통령실은 “범정부적 시각과 이해관계 조정 역량을 바탕으로 공정한 인사시스템 확립과 공직사회 혁신을 이끌어 갈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기재부 정책조정국장·차관보 등을 거쳤다. 대통령실은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회복시켜 나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박 차관은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차관보를 지낸 정통 농정 관료로 추진력과 이해관계 조정력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장과 관광산업정책관을 지낸 용 차관은 경희대에서 예술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아 실무 경험과 이론적 기반을 겸비했다.
외청장과 소속기관장으론 권재한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이 농촌진흥청장에, 산림청장과 국립중앙박물관장으론 임상섭 산림청 차장과 김재홍 국민대 한국역사학과 교수가 내정됐다. 권 청장은 농업·축산·식품·방역 등 농식품부 요직을 두루 거친 농업정책 전문가다. 산림자원관리학 박사인 임 청장은 기술고시 합격자론 처음으로 산림청에 임용된 기록을 갖고 있다. 한국 고대사를 전공한 김 관장은 국립춘천박물관 관장과 한국상고사학회 회장을 지냈다.
이날 인사에서 눈에 띄는 건 신임 차관 네 명 중 세 명이 대통령실 비서관 출신이라는 점이다. 이들은 비서관 임명 전 일하던 친정으로 복귀에 정책 실무를 이끌게 됐다. 지난달에도 이병화 기후환경비서관과 김민석 고용노동비서관, 김종문 국정과제비서관이 각각 환경부·고용노동부 차관과 국무조정실 제1차장으로 발탁됐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1개 부처 차관을 교체하는 대규모 인사에서 5명을 대통령실에서 차출했다.
이는 임기 후반기에도 이들 차관을 통해 국정 장악력을 유지하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윤심, 즉 윤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는 인사가 일선 부처에서 정책 실무를 이끌어야 한다는 게 대통령실 생각이다. 차관의 경우 국회 인사청문회를 받지 않아도 바로 임명할 수 있기 때문에 대통령실이 적임자라고 판단하는 인물을 바로 부처에 투입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 같은 인사 기조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대통령실에선 김성섭 중소벤처기업 비서관과 고득영 보건복지비서관, 박성택 산업통상비서관 등이 차관 임명을 위한 인사 검증을 받고 있는 걸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