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권상민 기자] 언론사의 버티컬 미디어들은 새로운 도전을 많이 합니다. 카드뉴스나 스톱모션을 시도하는가 하면 디자인을 바꿔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기도 합니다. 이데일리도 청소년 버티컬 미디어 하이니티를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이중 틱톡과 릴스에 뉴스를 발행하는 도전은 잘 알려져 있는데요, 알려지지 않은 도전도 있습니다. 뉴스 제작에 독특한 원칙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이 원칙과 여기에 담긴 고민, 적용 사례 등을 소개합니다.
|
첫 번째로 하이니티는 뉴스를 경성과 연성으로 구분하지 않습니다. 보통 경성 뉴스는 신문의 정치, 경제, 사회 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정부 부처의 발표를 전하거나 경제 지표를 분석하는 기사가 대표적입니다. 반면 연성 뉴스는 일상에서 흥미로운 내용을 다룹니다.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장관 후보자가 어떤 가방 브랜드를 맸는지, 탕후루의 인기 요인이 무엇인지 등입니다. 모두 중요하지만 아무래도 경성 뉴스가 언론에 가깝지 않나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온라인은 연성 뉴스가 많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연성 뉴스라도 마냥 흥미만 추구하진 않습니다. 일례로 2021년 IT 유튜버 잇섭은 KT의 10기가 인터넷 요금제 속도가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느리다는 영상을 올렸습니다. 영상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아 빠르게 퍼졌습니다. 결국 KT는 잇섭의 주장을 인정하며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도 유사한 사례가 있는지 보겠다며 통신 3사를 전수조사했습니다. 브이로그처럼 재미와 정보를 추구하던 잇섭의 영상이 IT 뉴스도 만들기 어려운 변화를 이끌어 낸 셈입니다. 이렇듯 온라인은 연성과 경성을 넘나드는 콘텐츠가 저마다의 방식으로 뉴스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이니티도 연성 콘텐츠로 경성 뉴스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십대 인터뷰 사전’이 그 예시입니다. 십인사는 하이니티가 길에서 만난 중고생에게 재밌는 질문을 던지는 콘텐츠입니다. 스낵컬처처럼 보이지만 기획 의도가 다릅니다. “교육부와 교사 단체의 보도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학생 일상에서 뉴스거리를 끄집어 내보자”입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몇 시간 자나요”라는 질문은 학생들이 충분히 잠을 잘 권리에 주목합니다.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이 0교시 부활을 추진하며 학생들 등교 시간이 앞당겨지지 않겠냐는 얘기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언제 물가가 올랐다고 느끼나요”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을 학생 입장에서 보는 질문입니다. 신문 기사에 나오는 북해산 브렌트유나 전통시장 김장 물가는 학생에게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보면 십인사를 스낵컬처로만 보기 어렵습니다.
|
두 번째는 바텀업 데스킹입니다. 오픈사전에서 ‘데스킹’을 검색하면 “취재기자들의 원고를 고참 기자들이 검토해 다듬는 행위”라고 뜹니다. 물론 이것도 맞지만 데스킹이 단지 첨삭과 교열에 그치진 않습니다. 어떤 사건을 취재할지, 누구를 인터뷰할지, 수위를 어느 정도로 조절할지 등을 포괄합니다. 즉 뉴스 제작 과정 전반에 고참 기자들의 생각이 영향을 미칩니다. 바텀업 데스킹은 반대입니다. 출고된 뉴스가 닿는 최종점, 독자의 생각을 뉴스 제작 과정에 반영합니다.
여기엔 하이니티의 고민이 담겨 있습니다. 보통 언론사 버티컬 미디어는 20대 후반부터 30대 후반 직원이 실무를 맡습니다. 이 나이대는 청소년을 잘 알지 못합니다. 내가 학생이던 시절은 너무 지났고 내 자식이 학교에 들어갈 시기는 한참 남았기 때문입니다. 소위 ‘어른들이 만든 학생 콘텐츠’가 나오기 쉬운 구조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독자와의 협업이 필요합니다.
‘도움 영상’은 바텀업 데스킹 중 하나입니다. 취재하다 막히면 그 사실을 솔직하게 말하고 도와 달라는 영상을 올립니다. “청소년이 어떻게 담배를 사는지 취재하고 있는데 어렵네요. 담배 피우는 친구들이 있다면 알려줄래요?” 처음엔 정말 연락을 줄까 싶었는데 생각보다 많이 옵니다. 하이니티는 이렇게 모은 정보로 청소년들의 흡연 문화를 다뤘습니다. 담배를 사기 위해 위조민증을 만드는 학생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
세 번째이자 마지막은 뉴스를 쉽고 재밌게 만들지 말자,입니다. 이상한 문장입니다. 기사는 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써야 한다고 배우기 때문입니다. 여기엔 독자를 필요 이상으로 어리게 대하지 말자,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뉴미디어를 하면서 “요즘 독자들은 어려운 뉴스를 보지 않는다. 쉽고 재밌게 만들자”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독자를 배려하는 의도는 존중하지만 이것이 지나쳐 독자를 어리게만 보지 않나, 걱정이 듭니다.
이를테면 많은 디지털 뉴스 콘텐츠가 어린이를 대하듯 상냥한 말투를 씁니다. 고딕 폰트를 주로 쓰는 레거시 미디어와 달리 둥글둥글한 폰트를 즐겨 쓰고 알록달록한 색상을 사용합니다. 밝은 배경음악을 선호하고 귀여운 일러스트를 넣기도 합니다. 이런 요소들은 잘 넣으면 예쁘지만 잘못 넣으면 어른이 아이를 위해 만든 인상을 줍니다.
하이니티가 취재 과정에서 만난 중고생들은 마냥 어리지 않았습니다. 기자와 똑같이 넷플릭스를 보고 무신사에서 쇼핑하며 인스타그램으로 대화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서 수능 관련 이벤트를 검색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중고생에게 인기 있는 패션 브랜드는 수험생 할인을 알리는 게시물에 굳이 교복 입은 학생 사진을 넣지 않습니다. 친절한 설명도 없습니다. 브랜드 이미지에 집중할 뿐입니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게시물은 다릅니다. 전형적인 밝은 분위기, 환하게 웃는 학생, 친절한 설명이 많습니다. 어른이 아이를 위해 만든 인상을 줍니다.
그래서 하이니티는 뉴스를 쉽고 재밌게 만들려고 애쓰지 않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뉴스를 보여줄 뿐입니다. 원고를 읽는 말투는 평소 말투와 같습니다. 혹시 말을 ‘절어도’ 편집하지 않습니다. 독자에게 솔직하게 다가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기 때문입니다. 어지럽혀진 책상과 뒤로 지나가는 직원도 같은 이유로 편집하지 않습니다.
|
이 세 가지 원칙은 완전하지 않습니다. 시도에 불과하며 계속 다듬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바텀업 데스킹은 독자와의 ‘협업 모델’이라 부르기에 부족합니다. 아직은 활발한 소통 수준에 그칩니다. 이를 발전시키는 일은 어렵지만 소홀히 할 수는 없습니다. 뉴스의 새로운 방법론을 찾는 것은 구독자를 늘리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하이니티의 업무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