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같은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 상승하면 당해 연도 상품 물가는 0.07%포인트 가량 하락했다. 2017년부터 2024년 동안 온라인 소비 비중이 14%에서 27%로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소비 형태의 전환만으로 상품 물가가 2.4% 가량 낮아졌다는 것이다. 소비자물가 중 상품의 가중치(44.8%)를 적용하면, 같은기간 소비자물가를 약 1.1% 낮추었을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온라인 소비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고용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KDI는 온라인 소비와 밀접한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운수·창고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업종별로 온라인 소비 확대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고용을 축소시키는 효과가 더 컸다. 고용 반응이 가장 큰 업종은 숙박·음식점업으로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할 때 취업자 수 증가폭이 2분기 후 최대 2만7000명까지 축소됐다. 또 그 충격이 2년여 간이나 유지됐다. 도소매업 역시 온라인 소비 비중 증가에 따라 취업자 수 증가폭이 최대 2만7000명 줄었지만, 영향은 비교적 단기간에 그쳤다.
운수·창고업은 온라인 소비 비중 증가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오히려 1만7000명 확대되는 등 단기적으로 고용이 창출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다만 경제 전반에 나타나는 효과를 분석하면 고용을 축소시키는 효과가 더 컸다. 온라인 소비 비중 1%포인트 확대 충격이 발생한 해당 분기를 포함해 1년 동안의 평균 고용 반응은 숙박·음식점업(-2만2000명)과 도소매업(-1만9000만명)의 감소 폭이 운수·창고업(8000명)에서의 증가 폭을 상당히 상회했기 때문이다.
김지연 KDI 전망총괄은 “그만큼 단기간 내에 종사자들의 업종 간 이동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KDI는 온라인 거래 확대의 물가안정 효과가 관련 산업의 독과점화로 저해되지 않는 시장 요건 형성 및 노동시장에서의 경제·사회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총괄은 “전통적인 도소매업 종사자들의 온라인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전직 사양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재교육을 강화해 원활한 업종 전환을 도울 필요가 있다”며 “택배·물류 부문의 성장과 함께 특수고용직 등 기존의 취업 형태와 성격이 다른 근로자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실효성 있는 사회안전망 구축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