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경기도교육청 저연차 공무원 위한 임태희의 묘책

황영민 기자I 2025.03.10 17:02:58

경기도교육청 '맞춤형복지 3종 종합 지원책' 발표
지난해 도교육청 일반직 퇴직자 3명 중 1명 5년차 미만
전국 최저 수준 복지 기본점수 일괄 100만원으로 상향
1년차에는 100만원 추가 지급 5년차까지 차등 지원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젊은 교사들은 기회가 되면 직장을 옮기고 싶어 한다. 그런 추세가 반영돼 과거에는 최상위권만 지망했던 교대 지망생 수준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공교육이 망가진다. 국가적으로도 굉장히 심각한 문제다.”

저연차 교원 이탈에 대한 고민 끝에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답을 내놨다. 전국 시도교육청 최초로 5년차 미만 저연차 청년 공무원의 복지점수(복지포인트)를 대폭 확대하면서다. 10일 경기도교육청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 맞춤형복지 3종 종합 지원책’을 발표했다.

10일 오전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도교육청 내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지난해 도교육청 소속 5년차 미만 교원 767명·일반직 822명 등 1589명 대상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기회가 된다면 이직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교원 중에는 도시 근무자의 이직 의향이 53.2%였고 일반직은 교육행정기관 소속 도시 근무자의 67.7%가 이직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직 희망 사유로는 교원과 일반직 모두 95% 이상이 ‘낮은 보수’를 꼽았다. 기존 경기도교육청의 교직원 1인당 복지점수는 기본 80만원으로 대구, 충북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실제 2019년 경기도교육청 소속 지방직 공무원 전체 퇴직자의 19%를 차지했던 5년차 미만 퇴직자 비율은 지난해 9월 기준 32%까지 치솟았다. 퇴직자 3명 중 1명은 저연차인 셈이다. 이같은 저연차 공무원 이탈 현상을 막기 위해 마련된 것이 이번 맞춤형복지 3종 종합 지원책이다. 도교육청은 전국 시도교육청 최저 수준이었던 기본점수 80만원을 일괄 25%씩 상향해 100만원으로 맞췄다. 또 40세 이상 교직원에게만 지원됐던 1인당 20만원의 건강검진비를 전 연령으로 확대했다.

여기에 5년차 이하 공무원에게는 복지점수를 100만원(1년차)에서 20만원(5년차)까지 차등 지원키로 했다. 1년차 공무원의 경우 기본점수 100만원에 청년 추가 100만원을 더해 연간 최대 200만원의 복지 점수를 받음으로써 전국 최초·최고 복지점수 수혜 대상이 된다.

도교육청은 이번 조치를 위해 총 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 중 118억원이 저연차 공무원들을 위해 쓰인다. 엄신옥 경기도교육청 복지협력과장은 “이번 복지점수 확대를 위해 지난 1년간 사전조사와 숱한 내부 논의를 거친 끝에 도의회에서도 공감을 얻어 예산을 마련할 수 있었다”면서 “특히 청년 공무원 추가 지원은 하후상박(下厚上薄) 취지의 설계로서 배려와 온기 있는 경기도교육청의 조직문화의 새로운 페이지를 열었다”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이번 복지정책이 새롭게 공직에 발 디딘 이들의 어깨를 가볍게 하고 청년 공무원들의 신뢰와 소속감이 교직에 대한 사명감으로 이어져 경기교육의 자율·균형·미래의 기조하에 미래교육청의 역할을 다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청년 공무원의 처우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