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 후보는 “대부분 대전시민이 ‘지금까지의 시정 성과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이어져야 한다’고 말한다”며 “민선 1~2기 이후 대전은 그동안 재선 시장이 없었고, 수십 년간 논란만 되풀이됐던 현안사업도 재선 시장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단언했다. 민선 7기 대전시정의 주요 성과에 대해서는 “많은 시민이 관심을 두고 격론을 벌였던 것이 월평공원을 비롯한 공원 민간 특례사업이다”며 “초기에는 ‘책임 회피 또는 신속한 결정을 못 한다’는 비판도 있었지만 시민 참여를 통해 시정 방향을 결정하는 게 사회적으로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는 것을 보여준 모범적 사례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선 7기에는 대전 하수처리장과 교도소 이전, 대전 의료원 건립, 대전역세권 개발, 옛 충남도청사 활용 등 큰 숙원 사업들이 하나하나 풀렸던 시간이었다”고 자평했다. 또 지난 4년 동안 430개의 기업을 유치했고 혁신도시 선정과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을 중심으로 1조2500억원의 민간자본 유입을 유도했다. 그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 지역화폐인 온통대전은 큰 힘이 됐다”며 “온통대전은 민선 8기에서 새롭게 기능을 확장한 시즌2를 통해 좀 더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지역의 시급한 현안으로는 인구유출을 지목한 뒤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인구유출은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현상 강화가 가장 큰 이유”라며 “수도권 일극 체제는 주거와 복지, 교육, 환경 등 다양한 격차를 만들고 있고 이러한 수도권 집중을 이겨내고 지방의 소멸을 막으려면 지역을 튼튼하게 만들 대안이 있어야 하는데 그 길이 바로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이라고 강조했다.
허 후보는 “충청권 메가시티 구상은 단시간에 완성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문화, 관광, 환경 등을 중심으로 단계별 추진이 필요한 장기 프로젝트”라며 “경제권·행정 협력체를 4개 시·도가 구성해 궁극적으로는 행정적 통합을 이루는 것이 큰 방향이고 우선 대전과 세종을 단일 경제 생활권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민선 8기 대전시장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는 항공우주청의 경남 설치에 대한 대응을 꼽았다. 그는 “항공우주청 대전 설립은 대전시가 제안한 대선 공약이고 우주청의 설립 명분에도 맞지 않는 결정임과 동시에 충청권 홀대를 의미한다”며 “대전 패싱의 상징이 된 윤석열 정부의 항공우주청 경남 설치를 되돌리기 위해 우선 정치권과 함께 노력하는 것이 시급한 사안”이라고 단언했다.
주요 공약으로는 생애주기별 지원 사업을 통해 출생부터 노후까지 문화와 교육, 복지, 건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완성한다는 복안이다. 또 시민이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도심 환경 개선과 함께 산업 인프라 구축, 원도심 활성화를 비롯해 도시철도 2호선 트램역 인근의 복합개발 등을 내걸었다. 2027년 완공 예정인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의 45개 역 중 7개 거점 역에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 공원이나 쇼핑몰, 복지시설 및 공공주택, 문화예술 공간 등을 만든다는 청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