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원장은 이어 “소비자들이 금융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은 금융산업이 당연히 수행해야 할 책무”라며 “금융업계와 감독기관이 함께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해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와 실천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은행권과 공동으로 실효성 있는 점포·ATM 대체 수단 마련 및 이동점포 활성화 등 점포 폐쇄에 따른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고령층 디지털 교육 강화, AI 금융상담 불편 해소, 장애인 응대매뉴얼 정비 및 장애인용 인프라 확충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행사는 금융의 디지털화와 점포축소 등 금융환경 변화 과정에서 금융감독원과 금융업계가 금융소비자의 접근성 제고 필요성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6개 금융협회장 및 각 업권 금융회사 소비자보호담당 임원, 소비자단체, 장애인단체 등 총 100여명이 참석했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접근성 관련 주요 이슈로 △은행 점포폐쇄 추세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장애인의 금융거래 애로 등을 제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2021년 말 6121개에 달하던 은행 점포 수는 올해 10월 말 기준 5690개로 줄었고, ATM수도 2021년 말 3만 1789개 수준이었지만, 올해 10월 말 기준 2만 7157개에 그쳤다.
|
정의철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도 “장애인은 하나의 집단으로 분류하기 어렵고 장애유형별로 다양한 특성이 있다”며 “장애인 응대 시 이러한 점을 충분히 고려해 개별적·구체적인 접근을 해 달라고 요청한다”고 전했다.
금융업권에서도 소외계층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조용병 은행연합회 회장은 “점포 축소에 따른 불편 최소화를 위해 창구제휴, 공동ATM 등의 대체수단을 적극 강구하고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보조수단 운영과 고령자 교육확대 등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도 “수어·채팅 상담, 시각장애인 전용 카드발급센터 운영, 점자 상품안내장 제공 등의 노력과 함께 간편모드를 연말까지 출시하는 등 앞으로 소비자의 건의사항을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 회장은 “금융계가 금융접근성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 의지를 표명해 준 점에 감사하다”며 “금융회사가 공급자가 아닌 수요자로서, 소비자가 실제 금융현장에서 느끼는 불편을 찾아서 해소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