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5일 서울 한은 별관 2층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한은·금융학회 공동 정책 심포지엄’에서 “증권, 저축은행, 캐피탈, 새마을금고 등 비은행의 시스템 리스크 개연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비은행의 영향력 확대, 그림자 금융을 통한 자본시장과의 연계성 증가, 디지털 런을 통한 리스크 확산 속도 증가 등의 특징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 4대 시중은행의 자산총계는 2010년 905조원에서 작년 1831조원으로 두 배 증가한 반면 증권업은 3.2배, 생명보험업은 2.4배, 손해보험업은 3.9배, 여신전문금융회사업은 3.4배, 저축은행은 4.4배나 급증했다. 동시에 부동산 그림자 금융의 규모도 커졌다. 작년말 부동산 그림자 금융 규모는 889조원으로 2014년말(246조원) 대비 3.6배 증가했다. 부동산 신탁, 펀드, PF대출 및 보증, PF 유동화 증권 등 주로 비은행이 취급하는 부동산 금융과 자본시장의 연계성이 강화되는 모습이다. 여기에 스마트폰, SNS를 통한 정보 비대칭성 해소는 디지털 뱅크런 속도를 확산시키고 있다.
|
그러나 시스템 리스크를 자극할 이벤트들은 상존한다. 실제로 2020년 3월 팬데믹 당시 해외 주가지수가 급락하자 증권사가 이를 기초로 발행한 ELS 헤지 관련 마진콜 사태가 발생했고 이는 외화자금 수요 급증, 환율 상승, 원화자금 조달 금리 급등, 증권사 유동성 위험 확대, 여전사 자금조달 비용 급증으로 확산됐다. 이에 한은은 그 다음달 최초로 증권사에 유동성을 공급했다.
올해말~내년초 홍콩H지수가 급락해 관련 ELS가 녹인(Knock-in·원금 손실) 구간에 진입하게 될 경우 기초지수로 묶인 코스피200 선물 포지션 매도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 규모가 최대 21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런 측면에서 한은의 비은행 유동성 공급 강화 노력은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이효섭 선임연구위원은 “시스템 리스크 촉발 억제, 시스템 리스크 확산 경로 차단, 시스템 리스크 확산 속도 둔화 등의 효과를 통해 금융안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적격담보증권 확대는 공사채 수요기반 확보 및 조달비용 하락을 통해 재정안정에 기여할 수 있고 비은행 금융기관 유동성 지원 확대는 통화정책 파급경로의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비은행에 대한 한은의 모니터링 및 감독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유동성 지원 전후로 비은행 리스크 요인 개선사항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7월 27일 비은행에 유동성 공급 부족시 금융통화위원회 의결을 거쳐 즉각 유동성을 공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