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이런 솜방망이 처벌과 감싸기 행태가 대학에서도 만연하니 교육부 장관을 하겠다고 나선 분까지 불공정 논란에 휩싸이는 것”이라며 “교육부가 진행하는 부정 실태조사의 폭을 모든 대학과 모든 시기로 확대해 교수 자녀 입시비리의 뿌리를 완전히 뽑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죄를 짓고도 운이 없어 걸렸다며 사과조차 하지 않는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여야가 함께 전수조사에 동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날 윤희숙 전 의원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최근 10년 치 의학전문대학원·치대·한의대에서의 교수 자녀 전수조사를 실시할 것을 요청했다.
윤 전 의원은 “어느 사회나 가장 강력한 포퓰리즘 배양액은 ‘시스템을 악용하는 엘리트에 대한 불신’”이라며 “의전원, 법전원, 치대, 한의대 등 경제적 안정을 보장하면서 부모 네트워크 활용이 중요하다고 알려진 학교의 지난 10년 교수 자녀 전수조사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5일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미성년자가 공저자로 등록된 연구물 1033건 중 교수들이 자신의 미성년자나 동료 교수 자녀를 논문 공저자로 올린 사례는 96건이었다. 9건 가운데 1건꼴로 연구에 제대로 기여하지 않은 미성년자가 저자로 이름을 올린 셈이다.
관련 교원은 69명, 미성년자는 82명이다. 대학별로 보면 서울대가 조사 대상 64건 가운데 22건이 적발돼 적발 건수가 가장 많았고, 연세대가 10건, 건국대와 전북대가 각 8건 적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