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 “韓 석유화학, ‘팀 코리아’로 위기 돌파해야”

박순엽 기자I 2024.12.04 10:28:07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중국발 석유화학 설비 증설과 공급 과잉 등으로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업황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는 상황에 국내 석유화학 산업을 구하기 위해선 통합법인을 만들어 여러 곳에 흩어진 범용 설비를 통폐합하고, 개별 기업은 정밀화학·친환경 플라스틱 등 스페셜티(고부가가치) 사업을 확대하는 투트랙 전략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특별법을 제정해 파격적인 지원을 나서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 구조적 문제 및 최근 위협 요인 (그래픽=삼일PwC)
삼일PwC는 ‘위기의 K-석유화학, ‘팀 코리아’로 돌파하라’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적 문제와 최근 위협 요인을 살펴보고, 국내 업계가 나가야 할 전략적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해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 업계의 구조적 문제는 △편향된 중국 의존도(내수 시장 부족) △중국·중동 대비 소규모 투자 자본 △핵심 원천기술 부재 △자원 수입에 의존 등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한국은 생산능력 기준으로 세계 4위 화학산업 강국이지만 자원 수입에 의지하다 보니 기본적으로 원가 경쟁력 개선에 한계가 있고, 현재의 기술력과 생산도 범용제품에 집중돼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위협 요인으로는 중국발 공급 과잉과 중동 지역의 정유석유화학통합공장(COTC) 증설 등이 언급됐다. 2022년 세계 1위 에틸렌 생산능력 보유국이 된 중국은 ‘석유화학 자급률 100%’를 목표로 몸집 불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 확산으로 화석연료 입지가 좁아진 중동 산유국도 직접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COTC 설비 증설에 나섰다. 그 결과 지난해 국내 석유화학 제품 수출액은 457억달러로 전년 대비 15.9% 감소했으며 주요 화학업체의 3분기(7~9월) 적자 폭도 커졌다.

보고서는 “K-석유화학이 구조적 불황을 딛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과감한 구조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원유 수입국의 특성상 정유사업과 화학산업의 통합에 한계가 있어 과잉 설비를 감축하는 일본식 구조조정이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일본의 경우, 1980년대 정부 정책을 통해 범용 설비의 통폐합을 진행했고 동시에 스페셜티 제품 비중을 확대했다.

석유화학 구조조정 방안 예시 (그래픽=삼일PwC)
보고서는 구조조정의 구체적 방안으로 ‘팀 코리아’를 제시했다. 현재 울산·여수·대산 등에 소재한 나프타분해설비(NCC)의 운영 주체를 1~2개로 압축해 통합법인 ‘석유화학 팀 코리아’를 만들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설비를 폐쇄 또는 매각해 채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기업 자율에만 맡길 시 구조조정의 골든 타임을 놓칠 우려가 있어 채권단이 나서서 구조조정을 주도하고 독립적인 전문경영인을 선임해 통합법인 경영을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또 통합법인 외 개별 기업은 정밀화학 등 스페셜티 제조업체로 특화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정밀화학 제품은 중국 제품으로 대체가 쉽지 않고 바이오 플라스틱 등 친환경 제품은 유럽 등 선진국의 플라스틱 규제에 대응할 수 있어 중장기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모델로 꼽힌다.

민준선 삼일PwC 딜 부문 대표는 “구조조정을 유도한다는 기본 방침만 정해놓고 실행은 민간에만 맡겨놓는다면,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상 기업들이 버티기에 나서면서 구조조정 시간이 지체될 공산이 크다”며 “정부는 구조조정이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특별법 제정, 세제 지원, 저금리의 정책 자금 제공, 채권금융기관의 역할 유도 등 파격적인 제도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번 보고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삼일PwC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