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WP는 지난달 27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면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포함해 중국에 대한 새로운 대규모 경제 공격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에는 실행하지 않았지만, 퇴임 후에 대중국 ‘최혜국 대우 폐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렇게 되면 중국산 수입품의 40%에 대해 연방 정부 차원에서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된다.
WP가 보도한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대한 60% 관세 부과’ 방안은 기존에 트럼프 진영에서 거론되어온 대중국 관세 방안 중 가장 강력한 내용이었는데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한 발 더 나가 ‘60% 이상’ 부과 방안을 거론하며 발언 수위를 높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트럼프 1기’(2017년 1월~2021년 1월) 당시 무역법 301조를 적용해 중국산 제품 수천 개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는데 트럼프 2기에는 이보다 더 높은 세율을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부과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미국 우선주의, 강경한 보호 무역주의로 대변되는 ‘트럼프노믹스’가 트럼프 2기에도 관세·무역 전쟁으로 이어질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이는 사실상 중국과의 무역 디커플링(단절) 기조로 가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중국 초고율 관세 부과를 공언하자 중국 투자자들에겐 ‘트럼프 리스크’가 커진 모습이다. 최근 경기 둔화와 주가 하락, 부동산 시장 침체를 겪고 있는 중국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지난주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뮤추얼펀드와 사모펀드, 보험사 등 고객들과 접촉한 결과 “현지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물어본 것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차기 미국 대통령이 될 경우 중국에 미칠 영향이었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미국 대선이 미·중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데이비드 파이어스타인 조지 W. 부시 미·중 관계 재단 회장은 블룸버그에 “올해 대선에서 누가 승리하든 미국의 투자와 기술이전, 무역 등에서 미국이 중국을 상대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며 “바이든은 본질적으로 트럼프의 정책을 수용했을 뿐 아니라 실제로는 훨씬 강화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