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미중 눈치보는 애플, 트럼프 찾아가…이번에도 관세 피할까

김윤지 기자I 2025.02.21 11:53:15

"트럼프, 쿡 CEO와 백악관서 회동"
中관세 논의했을듯…1기땐 면제 받아
美선 추가 관세, 中선 반발 ''진퇴양난''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애플 최고경영자(CEO)인 팀 쿡과 회동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두 사람의 회동 의제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관세 관련으로 추정된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지난달 20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애플 최고경영자(CEO) 팀 쿡.(사진=AFP)
쿡 CEO는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재입성이 확정된 후 사저인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를 방문하고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도 참석하는 등 집권 1기 시절부터 트럼프 대통령과 우호적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그는 이번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기금에 100만 달러를 기부한 빅테크 주요 인사 중 한 명이다.

그런 쿡 CEO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격화되는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해 난처한 입장에 처했다고 블룸버그는 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면서다. 중국은 이에 반발해 애플의 정책의 애플이 앱 개발자들에게 부과하는 수수료에 대한 조사 착수를 검토하고 있다.

애플의 최대 시장은 미국이나 중국에서 가장 많은 아이폰 등 애플 기기를 생산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대로 “예외없이” 수입품에 대한 보편 관세가 시행된다면 미국에서 판매되는, 중국에서 제조된 아이폰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다. 또한 중국은 애플의 주요 해외 시장으로, 중국 정부의 제재 등으로 중국 내 애플 사업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즉, 애플은 미국에선 추가 관세 직격탄, 중국에선 소비자 반발이란 위기에 직면한 것이다.

트럼프 집권 1기 당시 애플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계에 힘입어 아이폰에 대한 관세를 피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들어 연일 수입품에 대한 전면적인 새로운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다. 이번에는 애플이 “그렇게까지 운이 좋지 않을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지난해 대선 직후 쿡 CEO는 소셜 미디어(SNS)에 “애플은 미국이 독창성, 혁신, 창의성으로 계속 선도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와 협력하기를 기대한다”는 글을 올렸다.

하지만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두고 트럼프 행정부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 법 집행 기관이 암호화된 아이폰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애플에 협조를 촉구하고 있으나, 애플은 안전성을 이유로 이를 거부하고 있다.

트럼프 관세 전쟁

- 트럼프 관세 공격 속 EU, 중국과 밀착…7월 시진핑 만난다 - 트럼프 관세 압박에 베트남, '중국산 우회 수출품' 단속 나선다 - "트럼프, 관세전쟁서 패 노출…시진핑 까다로운 적수 될 것"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