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 쿡 CEO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격화되는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해 난처한 입장에 처했다고 블룸버그는 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면서다. 중국은 이에 반발해 애플의 정책의 애플이 앱 개발자들에게 부과하는 수수료에 대한 조사 착수를 검토하고 있다.
애플의 최대 시장은 미국이나 중국에서 가장 많은 아이폰 등 애플 기기를 생산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대로 “예외없이” 수입품에 대한 보편 관세가 시행된다면 미국에서 판매되는, 중국에서 제조된 아이폰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다. 또한 중국은 애플의 주요 해외 시장으로, 중국 정부의 제재 등으로 중국 내 애플 사업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즉, 애플은 미국에선 추가 관세 직격탄, 중국에선 소비자 반발이란 위기에 직면한 것이다.
트럼프 집권 1기 당시 애플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계에 힘입어 아이폰에 대한 관세를 피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들어 연일 수입품에 대한 전면적인 새로운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다. 이번에는 애플이 “그렇게까지 운이 좋지 않을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지난해 대선 직후 쿡 CEO는 소셜 미디어(SNS)에 “애플은 미국이 독창성, 혁신, 창의성으로 계속 선도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와 협력하기를 기대한다”는 글을 올렸다.
하지만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두고 트럼프 행정부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 법 집행 기관이 암호화된 아이폰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애플에 협조를 촉구하고 있으나, 애플은 안전성을 이유로 이를 거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