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日 아프간에 수송기 보냈지만 대피 0명…한국은 희망자 100% 이송

김보겸 기자I 2021.08.26 16:00:10

대피 희망자들, 카불 공항까지 도착 못 해
탈레반이 자국민 탈출 금지…검문소 세운 탓
한국, 軍수송기 동원·미국과 손잡고 대피시켜
美국방 "아프간 협력자 국내 수용한 韓에 감사"

일본 자위대가 아프간 협력자들의 탈출을 돕기 위해 수송기를 띄웠지만 대피 희망자들이 공항에 도착하지 못해 수송에 실패했다(사진=AFP)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아프가니스탄에 남은 일본인을 국외로 피난시키기 위해 일본 정부가 자위대 수송기를 띄웠지만 대피 희망자들이 공항까지 오지 못해 첫날 대피 인원이 0명에 그쳤다.

미국과 협력해 한국행 희망자를 전부 이송하는 데 성공한 한국 정부와는 상반된 결과다.

◇“공항에서 만나자”…대피 희망자들 도착 못 해

26일 NHK와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아프간에 남아 있는 일본인과 대사관에서 일한 현지 직원들을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로 옮기기 위해 자위대 C2 수송기가 전날 밤 카불 공항으로 향했다. 자위대법에 근거한 재외동포 수송 임무에서 외국인을 대피시키는 것은 처음이다. 하지만 대피하려는 사람들이 공항에 도착하지 못해 첫날 수송 인원은 0명에 그쳤다.

대피 희망자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카불 공항까지 와야 했지만 여의치 않은 탓으로 보인다. 이들은 군 수송기 도착에 맞춰 공항에서 만나기로 했지만 탈레반이 지난 24일 자국민 출국 금지를 선언하며 곳곳에 검문소를 설치한 탓에 공항 진입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탈레반 대변인은 “공항으로 가는 길이 차단됐다. 아프간인은 그 길로 공항에 갈 수 없고 외국인만 공항에 가는 것이 허용된다”며 “아프간인들이 탈출하는 것이 불쾌하다. 더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NHK는 “일본 정부가 대피 작업의 안전성 확보 차원에서 대피 희망자들에게 공항까지는 자력으로 이동하도록 요구했는데, 현지에서 혼란이 계속되고 있어 공항에 도착하지 못한 사람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카불 공항을 관리하는 미군이 오는 31일까지 철수해야 하는 가운데 일본 자위대가 아프간 현지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철수 시한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기시 노부오 일본 방위상은 “현지 정세가 급박하게 흘러가고 있다”며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수백명에 달하는 자국민과 아프간 협력자들을 수송하겠다고 했다. NHK는 “대피를 원하는 이들이 실제 공항까지 도착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우려했다.

한국 정부와 협력한 아프가니스탄인이 카불공항에 도착한 공군 수송기에 탑승하기 전 외교부가 발행한 여행증명서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美가 동원한 현지 전세버스 타고 한국행 희망자들 100% 이송

일본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가 아프간 협력자는 물론 자국민 구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독일 정부는 지난 17일 수천명을 태울 계획이던 수송기에 7명만 태운 채 출발했다. 뒤이어 도착한 두 번째 철수기는 독일인과 아프간인 등 120여명을 태우고 카불을 떠났다.

네덜란드도 지난 17일 최대 1000명을 태울 계획이었지만 명단에 있는 인원 중 1명도 태우지 못했다. 벨기에 역시 군용기에 한 명도 태우지 못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성공적으로 현지인을 대피시켰다는 평가다. 군 수송기를 동원하며 치밀하게 계획을 세우는가 하면, 미국 협력 덕분에 한국행 희망자를 100% 데려오는 데 성공했다. 그간 아프간에서 한국 정부와 협력해 온 현지인 직원과 가족, 미성년 자녀와 부모 등 378명이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서 이날 오후 인천공항에 도착한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전날 화상 브리핑에서 “원하는 사람은 100% 나왔다”며 국내 잔류나 제3국행을 결정한 이들을 제외하면 당초 정부가 계획한 인원 전부를 이송했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와 협력한 아프가니스탄인 국내 이송작전이 시작된 가운데 카불로 복귀해 아프간인 이송 지원을 지휘하고 있는 김일응 주아프가니스탄 공사참사관이 한 아프간인과 포옹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미라클’이라는 작전명 답게 성공적인 이송이라는 평가다.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이 지난 22일 회의에서 해결책을 제시했다. 미국이 거래하는 아프간 버스회사에 협력자들을 태우고 그 버스를 미군과 탈레반이 함께 지키는 검문소를 통과하게 하자는 것이다.

탈레반 기지를 통과할 때는 반드시 미군 승인이 필요한데, 미군은 탈레반과 철수와 관련해 ‘미군이 승인하는 인원에 대해선 철수해도 좋다’는 약정을 맺었다. 이 약정에 따라 버스 6대에 나눠 탄 한국행 협력자들은 검문소를 통과할 수 있었다.

협력자들도 대사관과 병원, KOICA(한국국제협력단) 등 자신이 속한 기관별로 탄탄한 연락망을 유지하며 일사분란하게 움직여 이송에 도움이 됐다. 미 국방부 합동참모본부의 행크 테일러 소장은 이날 국방부 브리핑에서 한국 정부가 아프간 사업 재건에 협력한 조력자들을 국내에 수용하기로 한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현했다.

탈레반, 아프간 장악

- “자위대 파견 늦었다”…日여권도 아프간 탈출작전 비판 - 靑NSC, 아프간 협력자 후속조치 협의…대북 노력도 강화키로 - 13년전 바이든 도왔던 아프간 통역사, 백악관에 "구해달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