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일 서울남부지법은 30대 초반 카이스트 대학원생 A씨를 포함해 대학생 연합동아리 회원 6명을 기소하고 8명을 기소유예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호화 파티나 여행, 식사자리를 미끼로 회원들을 끌어모으고 마약을 거래하거나 투약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사건이 알려진 뒤 다른 연합 동아리도 고민에 빠졌다. 운동 연합동아리에 가입한 김모(22)씨는 “회식 때 마약이나 술을 강제로 권하는 것은 아닌지 문의를 받기도 한다”며 “모집 홍보문 댓글에도 우리 동아리와 전혀 상관없는 마약 동아리가 언급되니까 불편하다”고 토로했다. 일부 대학생 연합동아리는 의심을 피하고자 홍보문에 “동아리 사건으로 연합동아리에 불신 표하는 사람이 늘었음을 인지했다”며 “해당 동아리와는 어떠한 접점도 있지 않았다”라고 공지했다.
자체적으로 마약 근절 캠페인을 벌이는 동아리도 나왔다. 9000여명이 활동하고 있는 한 친목 연합동아리는 이날 “우리 동아리는 마약을 엄격히 금지하며 모임에서 마약을 권하거나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즉시 경찰에 신고하라”라는 포스터를 만들어 회원들에게 공지했다. 이 동아리의 관계자인 고모(27)씨는 “캠페인 시작 후 동아리 회원들로부터 ‘막연한 불안감이 있었는데 캠페인이 열려 마음이 놓인다’는 반응을 받았다”라고 설명했다.
이런 노력에도 대학생들은 여전히 걱정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서울의 한 대학교 재학생인 B(24)씨는 “작년에 학술동아리를 했는데 매번 회식을 하며 성희롱을 당해 한 학기 만에 탈퇴한 적 있었다”며 “새로운 동아리를 알아보려다 이번 일을 접하고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올해 대학에 입학한 허모(19)씨도 “다양한 학교의 사람을 만날 수 있는 대표적인 곳이 연합동아리라 기대했는데 사건이 터진 뒤에는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게 무섭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마약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윤흥희 남서울대 국제대학원 글로벌중독재활상담학과 교수는 “지금의 대학생들은 동아리나 MT 활동 등을 통해 마약, 술 등을 접하는데 이런 것에 대한 유해성에 관해 대학 입학 때부터 조기 교육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지자체도 함께 마약이 유통되거나 판매된 장소 등에 대해 처벌할 수 있는 마약 차단 정책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