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뒤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대외활동을 자제하며 헌재의 선고를 묵묵히 기다리고 있다. 당초 활발하게 정치적 메시지를 발신하며 지지층을 선동하는 여론전에 나설 것이란 예상과는 다른 행보다.
윤 대통령 측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한남동 관저에서 성경책 읽기에 몰두하면서 담담하고 차분하게 헌재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며 “직무 복귀가 결정될 것을 대비해 국민 대통합 메시지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석방 이후 지금까지 총 세 차례 메시지를 냈다. 서울구치소 석방 직후 윤 대통령은 “불법을 바로잡아준 중앙지법 재판부의 용기와 결단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또 본인 지지층을 향해서는 “저의 구속에 목숨을 끊으셨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접하고 너무나 마음이 아팠다”면서 “저의 구속과 관련돼 수감돼 있는 분들도 조속히 석방되기를 기도한다”고 덧붙였다.
해당 메시지는 지난 1월 윤 대통령이 수사기관에 체포되기 직전 대국민 담화에서 “이 나라의 법이 무너졌다”며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던 것과는 대치되는 발언이다. 정치권에서는 선고를 앞둔 헌재 재판관들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행동이라고 해석한다. 또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과 주요 공직자에 대한 헌재의 탄핵심판 기각 결정 등으로 지지층이 결집하고 여권에서도 화력 공세에 나선 상황에서 정치적 메시지를 자제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국가적 재난 상황인 산불 피해를 최소화해달라는 지시도 내렸다. 윤 대통령은 지난 23일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전국적 산불 상황에 대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용한 자산을 총동원해서 산불을 빨리 진화하고 이재민들을 잘 도와주길 바란다”고 지시했다.
대통령실도 윤 대통령의 직무 복귀를 희망하고 있지만 대외적으로는 침묵하는 상황이다. 다만 최재해 감사원장과 한덕수 국무총리 등에 대해 헌재의 탄핵심판 기각 결정에 대해 ‘야당의 탄핵 남발에 경종’, ‘탄핵은 악의적은 정치 공세’라고 평가하며 국가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조속한 국정 안정을 위해 한 권한대행을 보좌하고 있다”며 “윤 대통령에 대한 헌재 선고 결과를 차분하게 지켜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