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초강력 부동산 규제인 9·13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에서 매매거래된 아파트의 90% 이상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매거래 절벽 속 아파트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그동안의 발표 수치를 뒤집는 분석 결과다.
8일 부동산정보 서비스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실거래를 바탕으로 지난해 9·13 대책 이전(2018년 1~8월) 대비 이후(2018년 9월~2019년 4월 2일)를 비교·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가격이 하락한 주택형은 44.2%로 나타났다. 이는 9·13 대책 이전(40.6%)에 비해 3.6%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수도권과 지방의 가격 하락 주택형은 각각 2.4%포인트(26.8%→29.2%), 2.9%포인트(54.7%→57.6%) 늘었다. 이처럼 9·13 대책 이후 가격이 하락한 주택형이 전체적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울은 달랐다.
이 기간 서울은 매매거래된 아파트의 92.7% 비중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인천과 경기 지역 아파트 주택형도 각각 53.7%, 61.7%가 상승한 것으로 집계돼 수도권은 매매거래 상승이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중에서는 광주의 아파트 주택형 상승 비중(78.9%)이 가장 높았지만 부산, 울산, 강원, 충북, 전북 등은 대부분 지역은 하락했다.
다만 대출, 세제, 청약 등을 전방위로 압박한 9·13 대책 이후 아파트 매매거래는 큰 폭 감소하고 있다. 집주인이 원하는 매도가격과 잠재 수요자의 매수 가격차이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거래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거래절벽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시세를 기준으로 발표하는 아파트 매매거래는 21주 연속 하락했지만, 실거래의 90% 이상은 되레 오른 가격에 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도자 입장에서 매수자가 원하는 낮아진 가격에 집을 팔려는 의사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보유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등이 급격히 늘어나지 않은 상황에서 매도가격을 낮추기 보다는 적정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가격 선에서 거래를 성사시키고 있는 것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서울은 아직 거래가 성사되기 위해서 매도자의 의견이 더 강하게 반영되면서 단기적으로 급격한 거래 감소에 대한 과도한 반응을 보일 필요는 없어 보인다”며 “다만 공시가 인상에 따른 보유세 부담이 현실화되는 6월 이후 매매거래 시장은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