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예산은 585억3300만원으로 대학당 평균 약 7억원이 지원된다. 대학들은 국고지원금을 △입학사정관 인건비 △대입전형 평가 개발비 △고교·대학 연계 활동 △대입 정보 제공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교육부는 4주기 사업에서 고교교육과 대학 간 연계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고교 선택과목 개설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을 지원하는 대학이 평가를 잘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고교 교육과정을 직접 지원하거나 진로체험 프로그램, 소외지역 진학 컨설팅 등이 고교교육을 지원하는 유형이 될 수 있다.
대입 정보의 접근성을 제고하는 것도 평가하기로 했다. 입시설명회·상담 등을 통해 대입 정보를 제공하거나 공교육 범위 내에서 대학별 고사를 출제하는 것도 사업 선정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교육부는 “사교육 영향평가 등을 통해 학생·학부모의 사교육 부담 완화 노력을 지속 유도하고, 대학 입학생의 다양성을 확대해 고등교육 기회 확대를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교육부는 해당 사업을 통해 대입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도 시행한다. 사업 참여 대학들이 블라인드 평가나 회피·배제지침을 적용토록 하겠다는 것. 평가 전문성 확보를 위해 입학사정관들의 고용 안정화와 교육·훈련 체계화도 지원한다.
사업 선정 대학 80곳은 기본사업 외에도 자율공모사업 유형에 추가 지원할 수 있다. 교육부는 자율공모사업을 통해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교육과정 직접 지원 △전형 운영 개선(2022 개정 교육과정 연계) △대입 정보 제공 확대 등 4가지 유형에서 16개 대학을 선정, 지원할 방침이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은 사전접수 후 다음 달 24일까지 사업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사전접수 기간은 오는 14일까지다. 이주희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2025~2026년은 대학이 2028 대입개편안 취지를 반영해 새로운 전형 설계를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각 대학이 학교 교육을 통해 준비 가능한 대입전형을 설계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