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웨이퍼 기준으로 중국 제조업체의 D램 생산 능력은 2022년 전 세계 생산 능력의 4% 수준이었으나 올해는 11%로 급증했다. 모건스탠리는 중국의 D램 생산 능력이 내년 말까지 글로벌 시장의 16%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수치상 생산 용량일뿐 실질적으로 이에 못 미친다고 WSJ는 지적했다. 투자회사 번스타인에 따르면 CXMT의 비트 밀도는 경쟁업체 대비 55%에 불과하다. 비트 밀도는 단위 면적당 저장되는 비트(Bit)의 수로, 실제 저장 용량을 의미한다. 또한 CXMT의 생산 수율이 낮아 용량당 유효한 반도체를 많이 생산하지 못한다고 WSJ는 전했다.
또한 현재로서는 중국 업체들의 생산 물량이 대부분 구형 반도체에 집중돼 있다. 이같은 저가형 반도체 가격은 하락하기 시작했다.
미국 등 서방 국가의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 반도체 업체들의 발전을 막고 있는 상황이다. 번스타인은 CXMT와 글로벌 경쟁사 간 기술 격차가 약 6~8년 정도라고 추정했다.
그럼에도 중국 기업들의 자국산 반도체 수요가 강력하고, 중국 정부가 막대한 자금을 바탕으로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예상 보다 더 빠른 발전을 이룰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WSJ는 내다봤다. JP모건에 따르면 중국은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의 주요 시장으로, 전 세계 전체 D램 수요의 20~25%를 차지한다.
WSJ는 “중국 공급업체들이 글로벌 경쟁사들을 대신하기 시작한다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은 재고가 쌓일 수 있고 그로인해 생산량을 줄이거나 세계 시장에 제품을 저렴하게 팔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현재로서는 중국과 경쟁에서 안전하지만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