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국가별 차등 관세율이나 각종 수출입규제를 적용하면 제삼국이 이를 회피하고자 우회 수출에 나서거나 무역안보를 위협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 또 관세 제도가 복잡해지며 관련 이해가 낮은 중소 수출기업이 예상치 못한 불이익을 당할 가능성도 커진다.
미대본은 이 같은 가능성에 대비해 본부 산하에 무역안보특별조사단과 위험점검단, 기업지원단을 꾸려 대응한다. 특조단은 우회수출 등에 대한 수사를, 점검단은 우리 수출기업의 원산지·관세 부문의 대응을, 지원단은 미 관세 당국의 정책 동향을 최대한 빨리 국내에 전파하는 역할을 각각 맡는다. 지원단은 4월2일 미국의 발표와 함께 세부 지원전략을 세워 추진할 계획이다.
고광효 관세청 청장은 “정부 간 협상을 통해 우리가 미국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게 가장 좋지만, 미국 관세율의 국가 간 격차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만반의 대응전략을 세울 것”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 기업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