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에 참석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단순한 지역재난이 아니라 국가적 비상사태”라며 “지금 정치가 해야 할 일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
그는 “지금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할 때”라며 “장비, 인력, 물자 등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머무르지 않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국가 대응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정비까지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자 Pick
이어 권 원내대표는 산불 사태로 드러난 제도적 미비점에 대해서도 지적을 이어갔다. 그는 “산불은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한데, 산림청이 보유한 (소방) 헬기 50대 중 담수 용량 8톤 이상의 대형 헬기는 단 7대이며, 그 중 2대는 정비 중”이라며 “더 큰 문제는 헬기 임차 비용을 지자체가 부담해야 하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지자체는 국비 지원을 요청하나, 기재부는 지자체가 부담하라는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며 “산림이 많은 지역일수록 규제가 많고 산업 기반이 약해 재정이 열악하다. 기재부는 산림이라는 공공재 관리를 위해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 감당할 수 없는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회의에 참석한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한 비판에 가세했다. 그는 “민주당에서 재난 대책에 쓰일 목적인 예비비를 일방적으로 1조원 삭감해놓고 추가경정예산(추경) 때 편성이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랐다”며 “화마로 희생당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은 분들의 심정에서 이야기해야 하는데, 너무 경솔한 발언”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또한 김 의장은 “이대로면 조만간 예정된 고위 당정도 산불의 예방 진화, 피해 복구 지원 등으로 압축해서 진행할 것 같다”며 “첫 회의인 만큼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