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 산업별 노조인 ‘UA젠센’의 마츠우라 아키히코 회장은 “엔화 가치 하락이 너무 심하기 때문에 일본은행(BOJ)이 상황을 바로잡기 위한 정책적 조치를 취하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
마츠우라 회장은 “BOJ가 (긴축 전환) 결정을 내릴 수 있을 만큼 임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OJ가 통화정책을 정상화하기 위해 요구하는 물가와 임금의 선순환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앞서 제시한 4%보다 더 큰 폭의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협상 결과는 BOJ의 다음 통화정책 회의 직전인 오는 3월 15일에 발표될 예정이다.
UA젠센이 주로 중소기업을 대표한다는 점이 6% 목표 설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엔화 약세는 수입품 및 원자재에 의존하는 중소기업들의 수익성에 압박을 가하기 때문에 임금 인상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데 악영향을 미친다. 아울러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유발해 근로자들은 생활비 부담이 커지게 된다.
이에 일본에선 BOJ가 미국 등 주요 국가들과 장기금리 격차를 축소해 엔화가치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그동안 중소기업을 포함한 임금 인상이 수요 주도 물가 상승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때, 즉 물가와 임금의 선순환이 확인됐을 때 마이너스 금리 체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BOJ는 관련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하지만 마츠우라 회장이 제시한 6% 인상률은 대기업들의 생각과는 적지 않은 괴리가 있다. 일본경제연구센터가 지난해 12월 25일부터 올해 1월까지 37명의 경제학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들은 올해 춘계 임금 협상에서 평균 3.85%의 임금 인상률을 제시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해 마츠우라 회장은 “6%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설령 7%를 요구하더라도 이는 업계 정책 범위에 해당한다고 노사에 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 최대 노조인 렌고 역시 올해 임금 협상에서 ‘5%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