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우 한은 조사국 물가연구팀 과장은 28일 ‘원자재 가격 변동요인별 물가 영향 분석’이라는 제하의 조사통계월보를 통해 “지정학적 위험이 완화되더라도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기대인플레이션으로 전이되면서 높은 물가 오름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기존의 공급망 병목 현상, 탄소중립 정책으로의 전환, 유동성 과잉 및 수요 회복 등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상태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겹치면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1%를 기록했고 4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1%로 2013년 4월(3.1%)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즉, 높은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대인플레이션율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셈이다.
김 과장이 1980년대 중반 이후 원자재 가격 변동을 글로벌 요인(원자재 가격 전반의 공통 요인), 상품 그룹(석유 등 개별 상품), 개별 상품(두아비유 등 특정 지역 단위의 변동) 요인으로 분해해 분석한 결과 상당 부분(50%)이 글로벌 요인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 분석됐다.
|
일부 상품은 우크라 사태 영향도 받고 있다. 천연가스는 작년말 러시아의 유럽 천연가스 배송관 가동 중단으로, 알루미늄은 중국의 환경 규제 강화와 우크라 사태에 따른 공급 감소, 친환경 소재 수요 증가가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밀과 옥수수 등은 파종기간과 우크라 전쟁 기간이 겹치면서 공급 감소를 겪고 있다.
원자재 가격이 글로벌 요인에 의해 오를 경우 다른 요인에 비해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이 더 큰 폭으로 장기간 오를 우려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요인에 의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글로벌 충격이 있던 달에 소비자물가를 0.04%포인트 끌어올리고 그 다음 달엔 0.06%포인트 끌어올린 후 그 효과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상품 그룹에 의한 요인은 한 달 정도만 반영하고 그 영향력이 크게 감소한다. 기대인플레이션율 역시 글로벌 충격에 의해 원자재가 오르면 석달 후 0.09%포인트 오르고 6개월 후엔 0.1%포인트 올라 1년 후까지 지속되는 반면 상품 그룹에 의한 요인은 두 달여 있다가 0.03%포인트 오른 후 그 효과가 1년간 지속된다.
김 과장은 “최근 우크라 사태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은 초기엔 개별 상품 요인에 의한 것이었지만 공급 병목 등 점차 글로벌 요인으로 확장돼 가고 있다”며 “글로벌 요인에 의해 유발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기대인플레이션율을 자극해 다시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